사회 전국

부산신항 건설 중단..시민단체-전문가 ‘반발’

노주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9.07.05 16:54

수정 2009.07.05 16:54



【부산=노주섭기자】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 신항 건설사업을 내년부터 3년간 중단한다고 발표하자 지역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5일 BPA 등에 따르면 BPA는 최근 물동량 감소에 따라 신항 건설사업을 오는 2015년 이후로 조정하라는 국토해양부 권고에 따라 신항 건설공사를 3년간 중단하고 서컨테이너부두 건설공사 착공도 4년가량 늦추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부산 신항 서컨테이너부두 2-5단계(3개 선석) 착공은 2010년 4월에서 2013년 이후로, 2-6단계(3개 선석)는 2010년 10월에서 2015년 이후로 늦춰지게 됐다.

그러나 부산지역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부산항 신항 건설사업 중단 및 서컨테이너부두 건설 지연은 부산항을 동북아 허브항만으로 육성하는 정책을 포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은 성명서를 통해 “신규 항만 건설을 연기하면 경기회복 국면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해 하부시설을 건설한 뒤 물동량 추이에 따라 상부시설을 짓는 등 대안을 마련, 정부에 건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시민단체는 또 신항 건설을 지금 연기하면 상당 기간 추진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고 이럴 경우 부산항의 2배가 넘는 규모 선석을 조성하고 있는 중국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과 경쟁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항만전문가들도 정부의 무모한 ‘멀티포트’ 정책으로 전국 컨테이너 항만시설의 과잉공급 및 국내 항만간 과당경쟁 부작용 초래뿐만 아니라 외국 항만과 경쟁을 벌여야 하는 세계 5대 컨테이너항인 부산항의 동북아 허브항 육성정책까지 차질을 빚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길수 한국해양대 교수는 “정부가 지금이라도 ‘멀티포트’ 항만정책 대신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부산항 육성정책을 펼쳐 국제경쟁력 제고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roh12340@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