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7월,소비자물가 4.7% 상승..하반기 상승압력 여전

박신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8.01 17:39

수정 2014.11.06 09:27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7%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4%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는 9월부터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대로 끌어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각종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기상악화와 공공요금 인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7% 올라 올 들어 가장 높았던 지난 3월과 같았으나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보면 7월(4.75%)이 3월(4.70%)보다 0.05%포인트 높았다. 이는 2008년 10월(4.82%) 이후 2년9개월 만에 최고치다.

■신선채소류 상승률 26년만에 최고치

이 같은 수치는 연초 구제역으로 돼지고기 가격 강세가 이어진 데다 장기간 엄청난 강수량을 기록한 장마 등 기상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 컸다.

전월 대비 농산물 가격을 보면 배추(63.9%), 열무(95.1%), 상추(94.4%), 시금치(71.8%), 호박(39.7%)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돼지고기는 지난해 7월보다 41.2% 상승했고 쌀(13.2%)도 두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양동희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 0.7% 가운데 채소류의 기여도가 0.28%포인트로 42.4%를 차지했다"며 "신선채소류 전월 대비 상승률은 21.5%로 채소류 통계를 작성한 1985년 이래 최고치"라고 말했다.

7월 초 정유사의 100원 인하 조치가 끝나면서 휘발유·경유가격도 전월보다 2.3%, 2.4% 올랐다.

석유류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11.6∼24.5% 비싸졌다. 집세 고공행진도 멈추지 않았다.

게다가 지방자치단체별로 시내버스·전철료, 상·하수도료를 중심으로 요금을 올리기 시작했다.

전월 대비로 보면 대구, 대전, 광주의 시내버스·전철료가 15%가량 올랐고 울산도 시내버스요금이 15.6% 올랐다.

지역별 소비자물가는 대전(5.6%), 부산(5.4%), 대구·울산(5.2%), 전남·경북(5.1%), 전북(5.0%) 등 5%대에 진입한 곳이 7곳이나 됐다.

■하반기 물가상승 압력 더 커질 우려도 있어

정부는 9월부터는 물가 상승률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간 4.0%가 되려면 물가가 다음달부터 5개월 동안 평균 3.44%로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난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발생한 기습폭우로 하반기 물가상승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쌀 등 곡물은 생육기간이 길어 강수량이 생산량에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채소류나 마늘, 인삼 등 기타농산물 가격은 강수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7월 하순에도 비가 내리는 점을 고려하면 채소류 가격의 상승폭이 확대되는 추세는 8월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뿐만 아니라 이달부터 전기요금이 평균 4.9% 오른 데다 수도권 버스와 전철요금 인상이 예정돼 있다.

주택용 전기요금 인상률은 2.0%에 그쳤으나 산업용을 최고 6.3% 올리면서 원가부담이 커진 기업들이 상품가격을 올릴 수도 있다.

다음달 도시가스요금도 오를 가능성이 높다.


채소류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는 계약재배 확대, 중국산 수입 등의 대책을 마련해놓고 있지만 태풍 등 날씨 변수에다 이른 추석으로 가격안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매주 열리는 물가장관회의를 4일에는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서 열고 농산물 수급 안정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이용재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채소가격 안정을 위해 고랭지 채소 등 농산물 수급안정과 추석수요 대비 등 단기 불안요인에 대응하는 동시에 유통 및 독과점시장 구조개선 등 구조적인 물가안정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padet80@fnnews.com박신영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