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KT·LG U+ ‘기본료 인하’ 불참 가능성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5.26 17:25

수정 2014.11.06 17:47

정치권의 이동통신 기본료 인하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KT와 LG U+가 기본료 인하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SK텔레콤은 요금조정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인가를 받는 사업자여서 정부의 요금개입 여지가 남아 있지만 KT와 LG U+는 요금변경을 신고만 하면 되는 사업자로 정부의 개입 여지가 없어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이석채 KT 회장은 26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합병 2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통신요금 인하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통신사업자들의 투자가 없으면 고도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고 청년들의 좋은 일자리도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민들이 요구하면 어쩔 수 없이 요금을 내리겠지만 통신회사들의 미래 서비스에 대한 포부도 꿈도 접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표현명 개인고객부문 사장은 이동통신 기본료 인하에 대해 "기본료는 미래 투자를 감안할 때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KT가 통신요금 신고 사업자라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완곡하게 기본료 인하 요구에 대한 반대입장을 드러냈다.



이런 입장은 LG U+도 마찬가지다. LG U+는 생존 차원에서 기본료 인하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LG U+ 고위 관계자는 "지난 1년간 LG U+의 이동통신 관련 수익은 어림잡아 500억원 남짓인데, 900만 가입자의 기본료를 1000원씩 인하하면 연간 1080억원의 매출이 줄어들어 단번에 순익이 적자로 돌아선다"며 "사업을 할수록 적자폭이 커지는데 기업이 버틸 수 있겠느냐"고 기본료 인하 요구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런 사정 때문에 방통위도 통신요금 조정에 대한 정책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방통위 한 고위 관계자는 "실제로 기본료 인하 여력이 없는 통신사업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통신요금 조정 방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며 "한 사업자라도 요금인하에 동참하지 않으면 사실상 요금인하 정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모든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요금조정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고 어려운 입장을 털어놨다.

/cafe9@fnnews.com이구순 권해주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