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대한항공이 사용한다
파이낸셜뉴스
2015.07.22 11:00
수정 : 2015.07.22 11:00기사원문

오는 2018년 문을 여는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대한항공이 들어간다.
이어 "이번 분리 배치는 양 국적사와 사전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면서 "분리 배치를 통해 양 국적사가 새롭고 독자적인 운영환경에서 세계적인 항공사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제2여객터미널에 둥지를 틀게 될 대한항공은 새로운 터미널 시설을 활용, 신종 기재 도입과 신규 노선 취항 등 공격적인 경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인천공항 환승객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대한항공은 자체 노선간의 환승 비율이 98%에 이르는 만큼 제2여객터미널 내에서 빠르고 편리한 환승이 가능하게 돼 인천공항 환승객 증대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나항공은 2018년 항공사 전면 재배치와 시설 개선으로 새롭게 태어날 제1여객터미널을 사용하며 검증된 운영체계와 시스템 안정성, 접근교통 편리성, 상대적으로 저렴한 사용료 등 제1여객터미널의 강점을 바탕으로 성장을 도모하게 된다. 개항 이래 15년째 운영돼 온 제1여객터미널은 그랜드리뉴얼 사업을 통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박완수 사장은 "2018년부터 제 1, 2여객터미널 체계로 운영되는 인천국제공항은 시설포화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고 공항서비스평가 10년 연속 1위에 걸맞은 고품격 서비스를 한층 더 발전시켜 가장 편리하고 쾌적한 공항으로 거듭날 것"이라면서 "양대 국적사를 위한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를 통해 함께 동반 성장해나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번 국적사의 터미널 분리 배치를 바탕으로 오는 12월까지 외항사 일부의 제2여객터미널 추가 배치를 포함해 외국 항공사, 저비용항공사(LCC) 배치 등 최종적인 항공사 재배치 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 3단계 확장계획에 따라 총 4조9000억원을 투입해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제2여객터미널, 계류장, 접근도로 등을 건설하고 있다. 제2여객터미널이 2018년 운영에 들어가면 연간 1800만명의 여객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어 인천국제공항의 전체 여객처리 능력은 기존의 4400만명에서 6200만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여객터미널은 전체 여객의 70%, 제2여객터미널은 30%의 비율로 여객을 분산해 처리하게 될 전망이다.
kkskim@fnnews.com 김기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