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김경민 특파원】 2025년 동북아 정세는 복잡한 갈림길에 놓여 있다. 한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파동으로 탄핵정국이 이어지고, 일본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당내 기반과 지지율이 탄탄하지 않은 실정이다. 북한은 러시아와 관계를 강화하며 새로운 외교 전선을 열고,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또다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외치고 있다. 여러 변수가 뒤섞이는 가운데 우리는 무엇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할까. 일본 내 대표적 지한파 학자인 기미야 다다시 도쿄대 교수는 지난해 12월 11일 고마바 캠퍼스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윤 정부가 한일관계를 다시 개선시키는 데 성공했으나 국내 정치 리스크로 인해 한국이 무정부 상태에 빠지면서 더 큰 협상력을 잃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미국의 트럼프 2기 체제에선 한미일 협력이 기존 바이든 체제처럼 견고하게 유지되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설명했다. 기미야 교수는 "이시바 내각은 아베 신조 전 총리 시절처럼 추진력 있는 외교가 나오기 어려워 미중 갈등이 심해질수록 한일이 각각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 서기 압박을 받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결국 한일은 대외 환경이 불확실해질수록 서로 협력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기미야 교수는 앞으로 더 큰 혼란이 예고되는 만큼 상호 공조가 필수라면서 "역사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절충점을 찾고,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탄핵 위기에 처했다. 일본의 윤 대통령 평가는. ▲한일관계만 놓고 보면 한국이 먼저 과거사 문제를 정리하려고 한 윤 대통령을 결단력 있고 일본과 화해를 중시한 지도자로 평가한다. 반면 한국에선 너무 쉽게 모든 걸 내줬다는 비판을 받았다. 협상은 보통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진전되는 것인데 한국이 양보 카드를 빠르게 다 꺼내 보여주니 일본은 더 내줄 필요가 없다며 굳이 움직이지 않았다. 외교력으로 점수를 주자면 낙제점이다. 현재는 탄핵정국으로 인해 '무정부 상태'처럼 국정이 멈췄다.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