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령관 육군 벽 깨고 해병대 황우현 소장 인선 가능성 높아
파이낸셜뉴스
2017.07.20 16:07
수정 : 2017.07.20 20:27기사원문
전역 앞둔 황 소장 인선되면 대이변
기무사령관 교체를 시작으로 국방개혁 이끄나
조현천 기무사령관은 국방대 총장으로 이동할 듯

국군의 보안을 책임지는 국군기무사령부가 창설이래 처음으로 비(非)육군출신 사령관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군 내부 정보에 밝은 여권 관계자는 19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조만간 기무사령관 인사를 통해 국방개혁을 강하게 이끌 것으로 안다"면서 "신임 기무사령관에는 황우현 해병대 소장(해사 37기·사진)이 유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1948년 조선경비대 정보처 특별조사과를 전신으로 하는 기무사는 69년 간 육군 출신 사령관의 독무대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퇴역 해군 영관장교는 "육군출신 특히 육사출신들이 기무사령관을 차지하면서 군의 주요 동정과 정보를 독식해 온 만큼 타군 출신 사령관의 탄생은 파격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며 "특히 황 소장은 애초 해병대 사령관으로 유력시되온 인물이었지만, 2년 후배인 전진구 중장(해사 39기)이 임명됐다. 현재 황 소장은 해병대사령부 정책연구관으로 전역을 앞두는 상황에서 진급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이 퇴역 장교는 "황 소장은 해사 축구부 골키퍼 출신으로 생도 시절부터 선후배들에게 평이 좋은 인물이었다"면서 "해병대 내에서 신망이 두터운 황 소장이 기무사령관으로 임명된다면 기무사를 더욱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대장급 인사에 대한 구체적 내용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성급한 예측 아니냐는 견해도 나온다.
그러나 송 장관이 과거 해군참모총장 시절 해병대 장교를 처음으로 해군사관학교 학생대장(준장)으로 임명한바 있고, 해병대 장교를 전속부관으로 둔 적이 있는만큼 가능성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현재 기무사령관인 조현천 중장(육사38기)은 국방대학교 총장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군의 한 소식통은 "조현천 중장이 국방대 총장으로 올 것 이라는 이야기가 이미 국방대 내에 퍼져있다"면서 "군 일부에서는 군 지휘부가 이미 차기 기무사령관을 결정해 뒀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기무사의 한 관계자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captinm@fnnews.com 문형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