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규제 불확실성…亞서 속속 짐 싸는 가상화폐거래소들
파이낸셜뉴스
2018.05.08 09:52
수정 : 2018.05.08 09:52기사원문

■일본 떠나는 크라켄…전문가들 “강화된 규제부담 탓일 듯”
대표적 사례가 진출 4년 만에 지난달 일본 사업 철수를 발표한 미국 대형 가상화폐거래소 크라켄이다.
올해 초 코인체크 해킹사태를 겪은 일본은 거래소 규제고삐를 죌 방침이다. 일본 금융청은 가상화폐 거래소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 여름부터 규제를 강화한다고 이날 밝혔다. 기존·신규 거래소에 모두 적용하며 새 규정을 따르지 않으면 영업정지 명령을 내릴 계획이다.

새 규정에 따르면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금융청을 통해 일본 정부에 등록해야 하며, 시스템 관리기준 강화 등 5가지 요구사항도 준수해야 한다.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가상화폐 보관을 금지하고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거액송금 시 고객신원을 확인해야 하며, 고객잔고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의심정황이 없는지 살펴야 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홍콩서 경고장 받은 바이낸스도 몰타로 거점 이동
홍콩에 등지를 틀고 있던 세계 최대 가상화폐거래소 바이낸스도 현지 규제강화를 이유로 몰타로 거점을 옮겼다. 몰타는 세계에서 가장 친화적인 가상화폐 정책을 펼치는 곳 중 하나다.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는 바이낸스 등 무인가 거래소 7곳에 경고서한을 보낸 바 있다. 바이낸스는 일본 금융청에서도 무등록 영업을 계속할 경우 형사 고소할 수 있다는 내용의 경고장을 받았다.
몰타는 친가상화폐 정책으로 경제성장을 꾀하려 하기에 거래소 입장에서 볼 때 규제 불확실성이 덜한 곳이다. 몰타 정부는 블록체인 사업자 규제 및 세계적 핀테크 업체들의 선택처로 글로벌 선도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 최대 가상화폐거래소인 비트피넥스 행보 역시 빼놓을 수 없다. 홍콩을 떠나 스위스에 둥지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godblessan@fnnews.com 장안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