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원희룡-이광재...차세대 정치인들 '블록체인·암호화폐'에 꽂히다

      2018.08.07 10:34   수정 : 2018.08.07 11:49기사원문
차기 대선(대통령선거)의 유력주자로 꼽히는 여야 잠룡들이 일제히 블록체인·암호화폐를 핵심 정책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다. 중앙정부가 ‘블록체인 산업 육성·암호화폐공개(ICO) 전면금지’란 틀에 갇혀 정책 엇박자를 내고 있는 반면 서울, 부산, 제주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스마트 시티 조성의 일환으로 ‘블록체인·암호화폐 활성화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고 있는 것.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과 원희룡 제주지사를 비롯해 국가미래전략 설계를 위한 민간싱크탱크 ‘여시재’를 이끄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 등 정치권이 눈여겨 보고 있는 정치인들이 일제히 블록체인 생태계에 직접 뛰어들고 있어 향후 정책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 블록체인 시범사업' 가동
7일 국회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22년 3월 20대 대선을 앞두고 여야 후보군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박원순 서울시장, 원희룡 제주지사, 이광재 여시재 원장 등은 최근 블록체인·암호화폐 산업 육성에 직접 뛰어들고 있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3선 연임에 성공한 박원순 시장은 오는 10일 이전에 ‘서울시 블록체인 시범사업’ 용역입찰을 완료, 서울시 블록체인 표준 플랫폼을 도입하는 한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중고차 매매와 유권자 1인1표제의 신뢰도를 높일 예정이다. 서울시 정보기획담당관 관계자는 “지난달 중순 용역입찰공고를 낸 결과 최종 입찰자가 결정됐다”며 “이번 주 중으로 협상을 마무리해 블록체인 기반 행정 서비스를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블록체인 인증 기술이 적용된 ‘서울시민카드’와 소상공인들을 위한 ‘하도급대금 자동지급’ 등 스마트 컨트랙트(블록체인 기반 자동계약 형성) 관련 사전검증사업도 진행될 계획이다.

특히 박 시장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시민권’을 도입한 에스토니아 사례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역화폐의 일환으로 ‘S코인’을 만들기 위해 관련 조례 등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 최근 진대제 한국블록체인협회 회장(전 정보통신부 장관)도 만나 의견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제주도 블록체인 특구' 조성 나서
앞서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제주코인’ 발행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원희룡 지사 역시 오는 8일 열리는 ‘혁신경제관계장관 및 시도지사 연석회의’에서 제주도를 블록체인 특구로 만들기 위한 특례 조항 마련 등을 건의할 계획이다. 원 지사는 특히 중국 블록체인·암호화폐 업계와 교류가 활발하다는 분석이다.

그는 최근 중국 암호화폐업체 네오의 한국 지사장 에반 홍을 만난 자리에서 “공공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제주코인 발행을 통해 새로운 경제 모델의 가능성을 검증해 볼 것”이라며 “제주특별자치도를 블록체인 특구로 조성해 민간주체들이 암호화폐공개(ICO)를 통해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와 후오비 등의 ‘동반자 역할’도 당부했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 창펑 자오도 ‘제주 블록체인특구’ 조성 등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한 바 있다. 원 지사는 또 스위스 주크, 몰타, 싱가포르 같은 블록체인 허브를 벤치마킹 중이며, 이달 중 직접 스위스 쥬크주 크립토밸리를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광재가 이끄는 '여시재' 블록체인 정책교류
오는 2021년 1월 피선거권이 회복되는 이광재 원장도 여권의 유력 잠룡 중 한 명이다. 그가 이끌고 있는 여시재도 지속적으로 국내외 블록체인·암호화폐 전문가들과 정책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여시재가 지난달 10일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실과 함께 진행한 토론회 주제 역시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할 마지막 기회’였다.

당시 토론회에 참가했던 한 크립토펀드 업계 관계자는 “이광재 전 지사가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며 “특정 지역이나 영역에 있어서 충분한 실험이 일어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공유한 바 있다”고 전했다.
특히 블록체인·암호화폐는 국경을 초월한다는 점에서 메가시티(대도시) 단위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면 전 세계 인재와 기술을 끌어 모을 수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