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행정에 블록체인 쓴다....블록체인 중고차거래시스템 내년 등장
파이낸셜뉴스
2018.08.17 09:41
수정 : 2018.08.17 09:41기사원문
쉽고 믿음직한 중고차거래 시스템 내년부터 운용...블록체인 대중화 기대감 높아져
서울시가 시 행정업무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채비에 나섰다. 우선 내년부터 서울시 중고차 거래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이용자들이 더 쉽고 안전하게 중고차를 매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서울시의 주요 정책에 시민들이 투표로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시스템도 내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정책 발제자와 유권자, 참관인 등이 투표율이나 집계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중고차거래 시스템과 서울시 정책투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성과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시 행정에 블록체인 사업을 적용한다는게 서울시의 계획이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활성화에 본격 나서겠다고 공언한 제주도와 함께 서울시 등 지밪자치단체 중심으로 블록체인 서비스가 본격 활성화 단계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블록체인으로 중고차 사고이력, 성능 위변조 방지
사업계약을 체결한 유라클은 계약기간 동안 블록체인 선도사업 2종과 사전검증 사업 3종에 대한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선도사업 2종은 △중고차 매매 신뢰체계 구축(장안평 중고차 매매시장) △시민참여 민주주의 실현(엠보팅) 이며 사전검증 사업 3종은 △서울 시민카드 통합인증 △마일리지 통합 자동전환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이다.

시민참여 민주주의 실현 사업은 투표 발제자와 참여자를 인증하는데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된다. 투표자들은 블록체인 기반 인증을 통해 투표권을 취득하고 투표하게 되며 투표율이나 집계결과 역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르면 내년 시행, 통합 마일리지 시스템도 사전검증
사전검증 사업도 진행된다. 먼저 블록체인 기반 서울시민카드를 만들기 위한 기술개발이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전검증, 회원정보에 대한 암호화, 블록체인 기반 개인인증서 발급 등의 기술개발이 진행된다. 향후 이를 통해 서울시 및 자치구 산하의 여러 시설들의 예약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중고차 매매 사업과 투표 사업은 이르면 내년부터 바로 시 행정에 도입된다. 이 외에 사전 검증사업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바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향후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기 위해 사전 검증작업에 나서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선도사업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서비스가 개발되면 바로 시 행정에 도입해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사전 검증 사업은 내년 이후 다시 서비스 개발 등을 통해 사업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