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무섭다더니… 비싼 고급휘발유 소비량 급증
파이낸셜뉴스
2018.08.23 16:18
수정 : 2018.08.24 07:13기사원문
수입차 판매 늘어나면서 3년간 가격 꾸준히 올라
올 7월까지 누적 소비량..전년동기比 15.9% 늘어


기름값이 상승세인 가운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고급휘발유 판매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 판매 증가와 정유사들의 마케팅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고급휘발유가 전체 휘발유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로 나타났다. 비중은 크지 않지만 석유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4년 이래 최고치다. 반면 같은 기간 무연보통휘발유 소비량은 4543만배럴로 전년대비 0.9% 증가하는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고급휘발유는 지난 2016년부터 최근 3년간 꾸준히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고급휘발유의 L당 가격은 지난 2016년 1757.6원에서 올 평균 1874.9원으로 약 6.7% 올랐다. 일일 소비량은 같은 기간 2400배럴에서 2920배럴로 21.7%가 증가해 가격 상승률의 세 배가 넘었다.
앞서 고급휘발유는 수입차가 증가하기 시작한 지난 2002년경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소비증가율이 52%에 이를 정도로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한 바 있다. 이후 배럴당 100달러 이상의 고유가 여파, 보급형·디젤 수입차 증가 등으로 약 6~7년간 소비 정체였다. 하지만 저유가로 돌아선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고급휘발유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상 옥탄가(RON) 94 이상의 휘발유로서 높은 출력과 좋은 승차감을 얻을 수 있어 유럽산 수입 휘발유차량은 대부분 옥탄가 95 이상의 고급휘발유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고급휘발유는 옥탄가가 높아 엔진출력 저하나 엔진고장 등을 일으키는 노킹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높고, 소음과 진동이 줄어 승차감이 개선될 수 있다"면서 "국내 정유사는 옥탄가 100 수준의 고품질 고급휘발유를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급휘발유 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수입차 판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실제 수입차 판매는 최근 증가세를 보여 고급휘발유 소비량이 늘어나는 흐름과 유사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집계 결과, 지난 7월까지 올해 수입차 등록대수는 16만62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3만5780대)보다 18.3% 증가했다.
정유사들의 마케팅 강화도 한 몫 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지난 6월 체험 행사를 실시하는 등 이용자 증대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고 취급 주유소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한편 고급휘발유의 소비량은 지역별로 편차를 보였다. 지난 7월 기준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서울의 고급휘발유 소비 비중이 38.6%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경기가 24.9%, 부산 6.2%, 인천 4.9% 순이었다. 서울 25개구 내에서도 강남구 27.7%, 서초구 21.9%, 송파구 7.3%, 용산구 4.9% 순으로 소비비중이 높았다. 최근 고급휘발유 판매가 증가 흐름을 보였지만 향후 지속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최근 발생한 BMW 화재 사고로 인해 수입차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 있기 때문이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