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무역협정 속도내는 美
파이낸셜뉴스
2018.09.26 13:58
수정 : 2018.09.26 13:58기사원문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미국은 무역에서 더 이상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미국은 속고 있다고 느끼면 '국익'을 위해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멕시코와 합의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개정협상,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성공을 강조하면서 무역협정 개정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車관세에 日도 방향 전환
모테기 도시미쓰 경제재생담당상은 이날 1시간 동안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난 뒤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혔다. 모테기 경제상은 양측이 협상에서 자동차 교역과 농산물 관세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임을 시사했다.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3일 뉴욕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실무만찬을 갖고 북핵문제부터 양국 통상 문제에 이르기까지 현안을 논의한 바 있다. 당초 모테기와 라이트하이저 간 회담은 24일로 예정됐지만 미국의 일정으로 인해 이튿날인 25일로 연기됐다. 일본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 우려가 작용한 결과다.
지난해 일본은 미국과 교역에서 7조엔의 무역흑자를 기록했고, 이 가운데 70% 이상이 자동차 관련 교역에서 나왔다. 이때문에 일본은 필사적으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 "NAFTA, 加없이도 간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는 25일 한 콘퍼런스에 참석한 자리에서 미국과 멕시코가 수일 안에 캐나다 없이 NAFTA를 체결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라이트하이저는 미국과 캐나다간 간극이 여전히 상당하다면서 "캐나다가 나중에 합류하기로 하면 그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캐나다 없이 미국과 멕시코 양자만으로 NAFTA를 맺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음을 시사했다. 일부 미 의원들과 기업들이 캐나다를 배제한 NAFTA를 반대하고 있지만 라이트하이저는 미 낙농제품 등 "캐나다가 미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에서 양보를 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멕시코와 NAFTA 재협상에 합의했다면서 캐나다가 동참하건 말건 멕시코 새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인 11월 하순에 서명이 이뤄지도록 의회에 사실을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 멕시코 대통령 당선인이 12월 취임하기 전에 협정이 서명돼야 한다면서 멕시코에 새 대통령이 들어서면 협상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법률에 따라 무역협정 서명이 되려면 세부협상안이 60일 이전에는 공개돼야 한다. 그러려면 라이트하이저가 앞으로 수일 안에는 세부안을 발표해야 하고, 그 동안 캐나다와 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 멕시코와 양자간 협상만으로 발표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