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조기착공 '청신호' 켜지나..박순자 국토위원장-김현미 국토부장관 '현장점검 동행'
파이낸셜뉴스
2018.12.06 17:32
수정 : 2018.12.07 08:40기사원문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출퇴근 시간 단축 등 다양한 정책적 기대효과를 낳고 있는 신안산선의 조기 착공을 위한 '청신호'가 켜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현장점검은 수도권 교통난 해소 등을 위한 신안산선의 조기 착공을 촉구하는 박 위원장의 강력한 요청으로 이뤄졌다.
현장점검은 김 장관을 비롯해 이영훈 포스코 건설 대표와 국토교통부, 철도시설공단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역사 광장에서 사업추진 현황 보고에 이어 현장 점검 및 질의 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박 위원장은 “지난 11월에 기재부에서 신안산선 재검토 기류가 발생해서 기재부 2차관을 만나 원안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설득했다”며 “안산시민들과 1300만 수도권 서남부 주민들이 10년을 기다려온 신안산선이 왜 필요한지 설명해 기재부 생각을 많이 바꾸어 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토부에서 내년 8월 착공을 검토중인 것으로 아는데 수도권 교통난 해소 등을 바라는 수도권 주민들의 염원을 반영해 반드시 8월 이전에 착공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김현미 장관은 “신안산선의 조속한 추진이 필요하다는 박 위원장님 의견에 공감한다"면서 "만반의 준비를 통한 신안산선 조기착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고 박 위원장실은 전했다.
기재부와의 협의과정에서 박 위원장은 신안산선의 조기 착공의 당위성과 정책적 명분에도 불구, 기재부가 소극적인 태도로 나오자 재차 조기 착공의 필요성과 정책효과 등을 강조하면서 끈질기게 기재부를 설득했다는 후문이다.
박 위원장은 특히 "기재부가 예산차원에서만 민생 현안을 접근해선 안 된다"며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소위 '지옥철'로 불리는 수도권 출퇴근 전쟁으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신안산선의 조기 착공이 오히려 국가재정의 효율적인 예산 운용의 모범적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전향적 사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