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난제 풀 컨트롤타워부터 두라
파이낸셜뉴스
2019.01.14 17:36
수정 : 2019.01.15 09:28기사원문
대선때 푸른 대한민국 공약
대통령 직속 특별기구 필요
서울과 수도권에 내려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14일 부산, 대전, 광주 등 전국 10개 시·도로 확대됐다. 수도권에 이틀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것은 지난해 1월과 3월에 이어 이번이 벌써 세번째다. 특히 14일엔 중국발 미세먼지까지 추가로 더해지면서 '매우 나쁨' 기준(75㎍/㎥)을 넘어 역대 최악 수준인 122㎍/㎥을 기록했다.
서울 여의도의 경우 낮 한때 207㎍/㎥을 기록하는 등 전국이 최악의 미세먼지로 골머리를 앓았다.
이러다보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글이 쇄도하고 있다.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높아진 13일 하루에만 80여건의 청원이 게시된 데 이어 14일에도 150여건의 미세먼지 관련 의견이 올라왔다. 지난 1년간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청원 중 미세먼지 관련 내용만 6000건에 육박한다.
그러나 집권 3년차에 접어든 지금까지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특별기구 설치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물론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금지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가동제한 등을 골자로 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한 것은 잘한 일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내달 15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미세먼지 특별법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특별법은 미세먼지가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경우 이를 저감하기 위한 권한과 조치를 각 지자체에 부여하고 있다. 중앙정부가 책임지고 문제 해결에 나서도 모자랄 판에 일을 지방정부에 떠넘긴 꼴이다.
미세먼지는 국민의 생존권 및 생명권과 직결된 문제다. 미세먼지 때문에 한 해 1만2000명이 조기 사망한다는 연구결과(홍윤철 서울대 의대 교수팀)도 있다. 미세먼지는 발생 원인을 놓고 한·중·일 3국이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할 외교 문제이기도 하다.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는 화력발전과 탈원전 정책의 영향 여부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미세먼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이유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