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균형 잡아주는 ‘전정기관’ 50~60대부터 노화… 재활운동으로 증상 완화
파이낸셜뉴스
2019.01.31 19:15
수정 : 2019.01.31 19:15기사원문
어지럼증 80%, 귀 이상과 관련
매일 10분 꾸준히 운동해야 효과
![[정명진 의학전문기자의 청진기] 몸 균형 잡아주는 ‘전정기관’ 50~60대부터 노화… 재활운동으로 증상 완화](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9/01/31/201901311915132578_l.jpg)
![[정명진 의학전문기자의 청진기] 몸 균형 잡아주는 ‘전정기관’ 50~60대부터 노화… 재활운동으로 증상 완화](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9/01/31/201901311915055404_l.jpg)
겨울철 노인에게 가장 걱정되는 것 중 하나가 낙상으로 관절이나 뼈를 다치는 것입니다. 낙상의 원인 중 하나로 어지럼증을 꼽을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은 연령을 가리지 않고 나타납니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 귀질환클리닉 추호석 진료부장은 1월 31일 "60대 이후가 어지럼증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몸의 균형을 감지하는 귀 가장 안쪽의 기관인 전정기관이 50~60대를 기점으로 기능이 떨이지기 시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생활 속에서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는 매우 흔합니다. 앉았다 일어서거나 사우나 등에서 어지러운 것은 대부분 병적인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것입니다. 이 때는 잠시 휴식을 취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있거나 똑바로 서 있기 힘들거나 구역질이나 구토가 동반될 때는 병적인 어지럼증으로 봐야 합니다.
하나이비인후과병원이 2013년부터 3년간 어지럼증으로 처음 병원을 찾아 어지럼증 검사인 '비디오안진검사'를 받은 환자 4095명을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이 2276명으로 전체의 55.6%를 차지했습니다.
어지럼증은 귀 이상에 의한 것이 약 80%로 가장 많습니다. 또 뇌나 심혈관 이상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어지럼증의 원인이 분명할 때는 질환부터 치료해야 합니다.
하지만 노인의 어지럼증은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같은 노인성 어지럼증이 전체의 약 22~79%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인성 어지럼증은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귀 속 전정기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전정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운동을 하면 노인 어지럼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전정신경염에 의한 어지럼증이라면 심한 증상이 가라앉은 후 전정재활운동을 하면 회복이 빨라집니다. 이석증의 경우 치료 후 후유증이 있을 때도 이를 시행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전정재활운동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눠서 진행합니다. 이 운동이 일시적으로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몇 가지 주의해야 합니다.
첫째 어지럼증이 심하게 나타날 때는 운동을 하지 않고, 증상이 다소 완화된 뒤에 시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둘째, 운동 중에 어지럼증이 나타나서 넘어질 수 있으므로 보호자가 옆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 진료부장은 "전정재활운동은 운동 효과가 즉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기 쉽다"며 "하지만 매일 10~20분 이상 꾸준히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