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플래시 메모리 더 얇아지나' 한양대 연구팀 신소재 개발 성공
파이낸셜뉴스
2020.06.30 11:31
수정 : 2020.06.30 11:31기사원문
반도체 부문 최고 권위 학회 기술논문 선정

[파이낸셜뉴스] 첨단 전자기기에 폭넓게 쓰이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고단화에 따른 두께 증가의 비효율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대된다.
30일 한양대는 최창환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구본철 박사과정 학생 연구팀이 3D 플래시 메모리에 쓰일 수 있는 강유전체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분야 최고 학회로 꼽히는 이번 ISVTC엔 최근 10년 중 가장 많은 논문이 투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투고된 총 248건의 논문 중 86건이 채택됐고, 이중 대학교에서 작성된 건 29건이었다.
연구팀의 성과는 기존 3D 플래시 메모리 소자들을 지속적으로 고단화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였던 ‘두께 줄이기’를 현실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보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메모리 성능개선을 위해 지속적 고단화가 필요하지만 기존 ONO 박막은 두께를 줄이기가 어렵고 새로운 대체 박막 재료는 다치화(MLC, Multi-level cell)의 어려움이 있다는 평가가 있었다.
최 교수팀은 알루미늄 도핑된 HfO2 박막 재료를 탈이온수에서 고속 급랭해 비약적으로 향상된 잔류 분극과 항전기장을 갖는 새로운 강유전체 박막을 형성했다. 이를 적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MLC 구현, 안정적인 100만 번 쓰고 지우기, 10년의 동작 신뢰성이 가능하다.
최창환 교수는 “순수 대학연구로 발표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고단화와 MLC 구현이 가능한 강유전체 박막 기반 3차원 플래시 메모리소자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pen@fnnews.com 김성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