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병·크론병… 비싼 MRI·CT 대신 초음파로 부담없이 검진
파이낸셜뉴스
2020.08.06 16:30
수정 : 2020.08.06 16:30기사원문
염증성장질환 장초음파검사
![궤양성대장병·크론병… 비싼 MRI·CT 대신 초음파로 부담없이 검진 [정명진 의학전문기자의 청진기]](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0/08/06/202008061630203392_l.jpg)
![궤양성대장병·크론병… 비싼 MRI·CT 대신 초음파로 부담없이 검진 [정명진 의학전문기자의 청진기]](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0/08/06/202008061630196443_l.jpg)
특히 20~30대 젊은 환자가 많습니다. 염증성장질환은 한 번 걸리면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입니다. 심할 경우 염증이 발생한 장을 부분절제하는 수술까지 받아야 합니다.
염증성장질환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개월에서 1~2년 간격으로 영상검사나 내시경 검사로 장의 상태를 추적관찰 해야 합니다. 평생 검사를 받아야 하고, 증상이 악화됐을 경우 즉각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간편하고 안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정은석 교수는 "장초음파는 금식 등 검사를 위한 특별한 준비 없이 장벽의 염증상태를 살펴볼 수 있어 환자의 부담도 줄이고 갑작스러운 증상 악화가 있을 때 손쉽게 병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며 "장초음파는 CT 및 MRI의 보조적 수단으로써 염증성장질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장은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항상 가득 차 있어서 초음파로 검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장 검사가 시작됐습니다. 현재 유럽에서는 염증성장질환 검사에 장초음파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장초음파 검사의 기술적 어려움과 상대적으로 긴 검사 시간 등을 이유로 실제 염증성장질환 진료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정 교수는 지난 3년간 독일 연수를 통해 장초음파 경험을 쌓고 국내에도 장초음파를 도입할 수 있었습니다.
장초음파 검사는 건강검진 때 시행하는 복부초음파와 유사하게 대장과 소장의 염증과 합병증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장벽의 두께와 혈류 증가를 확인해 장의 염증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 협착, 누공, 농양 등 염증성장질환으로 인한 합병증 평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의료진이 환자와 직접 소통하면서 염증성장질환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를 실시간으로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