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 결국 내년 10월로 연기

      2020.12.29 11:52   수정 : 2020.12.29 11:55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일정이 결국 내년 10월로 연기됐다. 그동안 코로나19 여파와 국내 기업의 부품 수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연구개발(R&D) 일정이 차질을 빚고 있다는 얘기가 지난 7월부터 나왔었다.

이와함께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천리안3호'를 내년부터 7년간 총 4118억원 투입해 개발에 들어간다.

이 위성은 2027년 발사해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재난지역 긴급통신, GPS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한국형발사체개발 계획과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계획 등 2개 안건을 확정했다.


이날 국가우주위원회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의 의견을 수용, 누리호 발사일을 조정키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를 위한 천리안3호 개발도 결정했다.

■누리호 1단부 문제 발견돼 재설계
누리호는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이 지난 9월부터 약 3개월 간 향후 개발 일정에 대한 종합 점검을 진행했다. 평가단 점검 결과, 누리호의 발사 성공률을 높이고 안정적 개발을 위해 1차 발사는 2021년 10월, 2차 발사는 2022년 5월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 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본부장은 이날 "발사체 1단부 조립과 관련해 75톤급 엔진 4개를 묶어 제작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발사체 1단부의 개발과정에서 부분품의 최종 검증을 위한 시험 중 문제점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후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을 거쳐 설계를 변경하고 다시 제작, 시험 과정을 진행하면서 납품 지연이 됐다. 고정환 본부장은 이 부분이 발사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대충 넘어갈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 밖에도 누리호의 전기체를 구성하기 위한 단간 조립,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액체산소를 충전하고 배출해 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천리안3호 우리 기술로 만든다
천리안3호 개발사업은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2021년부터 진행한다.

위성본체는 천리안위성 2A, 2B호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기추진시스템과 고성능 GNSS 수신기를 적용해 개발키로 했다. 전기추진시스템은 화학추진시스템에 비해 추력이 약하지만 화학연료 탑재량을 줄일 수 있어 위성본체 용량을 더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GNSS 수신기는 위성의 위치오차가 크게 감소되어 지상과의 통신 및 우주물체 회피 등에 유리하다.

천리안 3호에는 광대역통신, 정보수집, 위성항법보정 등 3종의 통신탑재체가 들어간다. 이 탑재체는 해외자문을 받아 국내 주도로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천리안위성 1호가 사용하고 있는 Ka대역 궤도 주파수를 이어받아 임무수행에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을 구축할 예정이다. 여기에 활용될 항법 탑재체를 이번에 국산화 개발해 차세대 위성항법 보정기술 국내 자립과 기술고도화 및 인증·검증체계 기술개발에도 연계해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KASS는 세계 7번째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공식 등재된 한국형 위성항법보정시스템으로 GPS 오차를 기존 17~37m에서 1~3m로 줄인다.

또 과기정통부는 공공복합통신위성을 활용해 위성통신 관련 미래선도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이용할 계획이다. 지상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을 연계하려는 국제 표준화 시도에 따라 5G 이동기지국 기술 등 지상-위성 연계 관련 선도기술을 개발키로 했다.
또 국내 위성통신 관련 산업체 등이 개발하는 신기술 및 신규 서비스 활용 가능성 검증을 위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