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대통령 머릿속에 '아동반품' 의식 자체가 없다" 재차 해명
파이낸셜뉴스
2021.01.19 09:24
수정 : 2021.01.19 11:05기사원문
전날 신년기자회견 발언 논란 재차 해명
"사전위탁보호제도 설명한것" 거듭 강조
"아동반품? 어떻게 그런 발상이 가능하냐"

[파이낸셜뉴스] 청와대가 문재인 대통령의 '입양아 발언' 논란에 대해 "대통령의 의도나 머릿 속에는 ‘아동반품’이라는 의식 자체가 없다”고 재차 해명했다. 아이를 위한 사전위탁보호제도를 설명한 것이라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프랑스 같은 경우가 결연을 동의하면 6개월 이상 위탁 보호하고 있고 일본 같은 경우도 6개월 간 시험 양육한다”며 “몇 나라 뿐만 아니라 각국이 다 이런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있는 제도”라고 설명했다.
야권에서 문 대통령의 일부 표현만 놓고 비판을 쏟아내는데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강 대변인은 "오해를 상당히 강하게 하신 건데 아동을, 표현하기도 민망한데 아동을 대상으로 해서 반품이라느니 너무 심한 표현이 나왔다"며 "어떻게 그런 발상이 가능했는지 오히려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앞서 유승민 전 미래통합당 의원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입양 아이가 무슨 쇼핑을 하듯이 반품, 교환, 환불을 마음대로 하는 물건이라는 말인가"라며 "강아지 파양도 얼마나 어려운데 하물며 사람을 두고 저런 말을 어떻게 할 수 있나"라고 맹비난했다.
강 대변인은 '그럼에도 표현이 적절하지 못했다는 점은 인정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그건 제가 말씀드리기 (적절치 않다)"며 "어제 (대통령이) 하신 말씀의 전체 맥락을 보면 이해를 하실 수 있었을텐데 조금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 중 '정인이 사건'과 관련된 질의에 "입양부모의 경우에도 마음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 안에는 입양을 다시 취소한다든지 여전히 입양하고자 하는 마음은 강하지만 아이하고 맞지 않는다고 할 경우에 입양아동을 바꾼다든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입양 자체는 위축시키지 않고 활성화해 나가면서 입양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발언을 놓고 일각에선 아동 인권과 정면배치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