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국과 '앵커리지 회담' 직전까지 反中 결속 다진다
2021.03.11 19:03
수정 : 2021.03.11 19:03기사원문
한국, 일본, 중국과는 고위급 외교·국방수장간의 직접 대면회담이 이뤄진다. 또한 일본, 호주, 인도와 화상으로 공동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번 바이든 외교전의 최종 하이라이트는 미국령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갖는 첫 미중간 외교회담이 될 전망이다.
12일(이하 현지시간 기준) 미국과 호주, 일본, 인도의 정상들이 처음으로 참석하는 '쿼드' 회의가 화상으로 열리며 다음 주에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일본(15~17일)과 한국(17~19일)을 연달아 방문할 예정이다.
두 장관은 18일 정의용 외교장관과 서욱 국방장관과 5년만에 처음 열리는 '한미 2+2 회의'를 진행한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회의 후 알래스카로 떠날 예정이며 오스틴 국방장관은 한국 일정을 마친후 19~21일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어서 출범 두달도 안된 바이든 행정부가 인도·태평양 국가와의 동맹 강화에 최우선을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18~19일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중국의 양제츠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과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나는 일정이 잡혀 있다.
10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젠 사키 대변인은 "미국 영토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관리들과 첫 접촉을 갖는다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시아와 유럽의 우방과 동맹국들과 먼저 깊이 상의한 후 이뤄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쟁점은 무역보다는 정치, 외교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알래스카 앵커리지 회담 테이블에 나오는 고위급들이 경제·무역 주체들이 아니라 외교 수장들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문제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미국은 홍콩 선거제 개편, 신장위구르·티베트 인권,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 등을 놓고 중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 또 남중국해·동중국해·대만해협에서 중국의 세력 확장 시도에 대해서도 군사적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회담에선 미국이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중국에게 개선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중국은 내정간섭과 핵심 이익을 침해하지 말라고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무역과 기술, 기업 등에서 중국에 전방위 공세를 펼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 측은 향후 협력과 조화를 바탕으로 대중국 때리기를 멈춰줄 것을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은 현재 중국을 21세기 최대의 지정학적 시험이자, 경쟁상대로 규정하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의 대중 강경책을 계승할 뜻을 피력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과 인도의 국경 분쟁, 북한 제재에서 중국의 역할,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중국 개입 의혹 등 동북아시아 정세를 둘러싼 문제들도 논의 자리에 올라올 것으로 추정된다. 군비확산 방지 화두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중국 칭화대 국제안보연구소의 천치 국장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과 대화를 재개할 것이 확실하다"며 "양제츠와 블링컨이 만난다면 둘은 중미 관계 설정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대화를 어떻게 재개할지 논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블링컨 국무장관은 이날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이번 앵커리지 회담은 바이든 행정부가 과거 행정부처럼 중국과 정기적으로 고위급 회담을 갖게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에서도 홍콩 이슈를 비롯해 신장위구르 인권, 대만 문제 등을 모두 꺼냈고 시 주석은 "중국 내정으로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아시아 전문가 보니 글레서는 앵커리지 미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중국이 미중 관계 악화를 미국 탓으로 돌리는 종전의 입장을 되풀이 할 경우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공동 대처와 기후변화 등과 관련해선 공감대를 형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은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한 백신 지원과 지구 온난화 방지, 탄소 감축 등을 모두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양측 고위급은 쟁점 사안들이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만큼 당장 결론을 내지 않고 향후 정기·비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