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환자 병상가동률 75% 돌파..당국 "비수도권과 병상 공유"
파이낸셜뉴스
2021.11.15 11:36
수정 : 2021.11.15 11:36기사원문
서울과 인천 병상 가동률 78%, 75% 기준 넘어서
정부, 충청권과 이남 지방과 병상공유로 의료대응
비상계획 기준 초과 "그것만 가지고 평가 어려워"

[파이낸셜뉴스] 최근 서울과 인천의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이 75%를 넘기고 있지만 정부는 비수도권과의 병상 공유를 통해 의료대응 능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15일 이창준 중앙사고수습본부 환자관리병상반장은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이나 중등증 병상의 가동률이 거의 80% 내외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 병상을 더 확보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수도권뿐만 아니라 충청권, 충청권 이남의 병상 공유를 통해서 수도권의 의료대응 능력을 높이려 한다"고 말했다.
이 반장은 "비수도권도 지금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중환자부터 중등증 환자를 모두 볼 수 있는 '거점전담병원'이기 때문에 이런 병원이 없는 전북 같은 곳에 새롭게 지정을 하고, 수도권의 거점전담병원도 3곳을 더 지정해서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345개 병상 중 271개 병상이 가동되고 있다. 가동률은 78.5%를 기록하고 있다. 인천 역시 79개 중 62개가 가동되고 있어 가동률은 78.4%다.
앞서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을 잠시 멈추는 '비상계획' 발동 기준의 하나로 중환자 병상 가동률 75%를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정부는 수도권의 병상 가동률이 높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아직 50% 가량 병상에 여유가 있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병상배정팀이 수도권 환자를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반장은 "병상의 효율화를 통해서 병상 운영 능력을 확충하는 노력을 같이 병행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최근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위험 수준인 75%를 돌파하면서 곧 발표될 비상계획에 관련 내용이 담기는 것과 관련, 이 반장은 "비상계획은 단순히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나 그것만 국한해서 보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전반적으로 여러 가지 지표를 고려서 비상계획에 관한 대응을 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