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집보다 화려하게' 조화 무시한 조각품, 최후는 철거
파이낸셜뉴스
2022.10.06 18:01
수정 : 2022.10.06 18:28기사원문
(12) 한국인과 공공조각
공간에 대한 맥락없이 막무가내
수억짜리 작품도 비아냥거리 돼
!['옆집보다 화려하게' 조화 무시한 조각품, 최후는 철거 [K-스컬프처와 한국미술]](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2/10/06/202210061827489415_l.jpg)
이는 빠른 사회발전 속에 관심의 촉을 세워 신신신야(信信信也-믿을 것을 믿고 의심할 것은 의심한다) 하는 국민성에서 비롯됨이 아닐까 한다. 공공조각의 경우 20세기 후반 연착륙 없이 수직 낙하하여 곳곳에 설치된 세계적인 조각가의 작품들은 서반에 비난의 칼을 피하지 못했다. 높은 작품가에 비해 작품이 부족해서라기보다 미술관 밖으로 나간 조각이 공공미술로서 대중과 서먹하게 대면한 맹아(萌芽)의 시기였고, 소통과 교감을 나눌 장이 부재한 탓이었다. 살피고 따져보아 앎, 공감, 관조의 즐거움이 샘솟는 것인데 이해할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으면 성급한 직관이 앞서기도 한다. 이후 몇몇 한국 작가의 공공조각 역시 여론의 된서리를 맞았다. 물론 개중에는 빈약한 조형성이나 공공예술로서 숙고가 부족했던 선택으로 대중의 비난이 합당한 상황도 있으며 세평에 의해 손가락질을 당하는 작품은 수억짜리 작품일지라도 철거의 운명을 맞이하기도 한다.
"난 가끔 그런 생각을 해. 한국 건물 앞 필수인 아무 조형물들이 갑자기 서로 배틀을 하는걸. 사람들은 처음에 놀랐다가 왜 싸우는지 모르지만 일단 자기네 회사 조형물들 응원하는 지난 7월에 누군가가 올린 이 트윗 하나가 '천하제일 조형물 무술대회'라는 온라인상의 배틀을 만드는 불씨가 되었다. 이 트윗에 호응한 전국 다양한 세대의 유저들이 본인 동네의 조형물이 더 강하다고 경쟁하듯이 공공조형물 사진을 잇달아 게재하며 전쟁에 불이 붙었다. 이 논란에는 공공조각이 지역의 자부심이 된다는 호응도 함의하지만 기괴한 조형물에 대한 비아냥도 혼재되어 있다. 긍정이든 냉소든 900여 건이 넘는 전국에 뜨거운 조형물 경쟁은 국민의 공공조각에 관한 관심과 인식을 보여준다. 심만의족(心滿意足)에도 불만족(不滿足)에도 침묵하지 않는 용광로 같은 세론이 존재하는 한국에서 공공작품은 설치와 동시에 모루 위에 올려진다. 이 땅에서 조우하는 공공조각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며 공간의 맥락성, 예술성, 대중성, 새로움이라는 허들을 넘어 행복을 선사해야 하는 존재여야 한다. 수많은 응원과 질타의 담금질 덕분에 공공미술작품은 하루하루 진일보(進一步)를 내딛고 있다.
김하림 조각가·아트플랫폼 대표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