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양곡관리법, 미래를 보자
파이낸셜뉴스
2023.04.12 17:51
수정 : 2023.04.12 17:51기사원문
![[특별기고] 개정 양곡관리법, 미래를 보자](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3/04/12/202304121751068533_l.jpg)
쌀은 1980년대만 해도 한 사람당 연간 100kg을 넘어 소비했다. 2022년에는 56.7kg으로 전년대비 10.2kg나 줄었다. 지금의 인구 감소현상과 우리 식생활 행태로 봐서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개정된 법안의 취지는 이해하나 이 법안이 시행되기 전 부작용을 더 세밀하게 검토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 대처방안도 포함됐으면 하는 아쉬움이 앞선다. 쌀 초과 생산량이 3~5%이거나 가격이 5~8% 하락하는 경우 강제 수매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기관 분석은 시장격리 의무화와 타 작물 재배지원을 병행해도 초과 공급량은 60만t 이상, 재정 부담은 1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고 이에 따른 쌀값 안정은 고사하고 오히려 하락 할 것으로 추정했다. 농민의 호응을 얻지 못하는 이유이다. 이제라도 입법기관과 행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정치적 계산이 아닌 우리 식량안보와 농민의 소득보장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또 앞으로 심도 있게 검토할 사항으로 특성에 맞는 벼 저장창고 확보와 볏짚과 왕겨, 미강 등 벼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개발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밥 한 공기 다 먹기와 국회의원 세비를 쌀로 지급하자는 일부 의견은 쌀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수용 가능한 개선책을 기대한다.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