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0.6% 성장했지만 앞이 보이지 않는 경제
파이낸셜뉴스
2023.10.26 18:29
수정 : 2023.10.26 18:29기사원문
중동전쟁 격화, 유가 250弗 경고
안일한 인식 버리고 총력 대응을
![[fn사설] 3분기 0.6% 성장했지만 앞이 보이지 않는 경제](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3/10/26/202310261828586286_l.jpg)
올해 반등에 성공해 지난 3·4분기까지 3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이 정도로는 정부와 한은의 올해 전망치 1.4%도 장담할 수 없다. 정부는 이제 올해가 두 달 남은 시점에서 상저하고론에 빠져 있지 말고 방향을 새로 잡아야 한다. 총선 표밭에만 정신이 팔린 정치권의 각성은 말할 것도 없다.
올 성장 예상치 1.4%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된 끝에 나온 수치였다. 국제통화기금(IMF)도 5차례 연속으로 우리 성장률을 낮춰 똑같이 1.4%로 전망했다. 한은은 앞서 지난 2·4분기 성장률을 발표하며 3·4분기와 4·4분기 성장률이 각각 0.7%는 돼야 올해 1.4% 성장이 가능하다고 분석한 바 있다. 산술적 계산이어서 4·4분기 분발하면 전망치에 부합할 순 있겠으나 문제는 경기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데 있다.
대외여건은 미중 패권다툼, 우크라이나 전쟁에 설상가상으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까지 덮쳐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스라엘은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을 받은 뒤 가자지구를 봉쇄하고 공습을 3주째 이어가고 있다. 외신은 이스라엘 지상군이 26일(현지시간) 밤새 가자지구에 대규모 공격을 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심야 급습을 전초전으로 이스라엘이 전면적 지상전 돌입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란 등 아랍권의 개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중동전쟁에 이웃 산유국들까지 발을 담그면 석유 공급이 하루 200만배럴 줄고 유가는 배럴당 2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BofA에 따르면 과거 1973년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수출금지나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국제유가는 세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유가가 장기화되면 기름 한 방울도 나지 않는 한국 경제는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냉난방비가 급등하고 자동차 연료, 공장 생산비가 치솟는다. 장바구니 물가, 외식비, 인건비를 끌어올리고 해외에서는 시장위축으로 수출 문이 더 좁아진다. 고물가, 고금리, 저성장 악순환의 늪에 빠질 수 있는 것이다.
비상한 경제시국에 정부, 정치권은 안일한 인식부터 떨쳐내야 한다. 반도체 경기가 나아지면서 수출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없는 건 아니나 온기를 느끼기엔 아직도 부족하다. 수출전선 전체가 활력을 가질 수 있게 정책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 성장엔진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동력을 발굴하는 것도 절실하다. 불안한 대외여건을 이기는 힘은 결국 내부의 체질개선, 국가 전체 경쟁력에 달렸다. 개혁에 더 속도를 내야 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