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상생금융, 더 많이 더 빨리 지원 결정하길
파이낸셜뉴스
2023.12.10 19:07
수정 : 2023.12.10 19:07기사원문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대상
개별 150만원·총2조원 윤곽
![[fn사설] 은행권 상생금융, 더 많이 더 빨리 지원 결정하길](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3/12/10/202312101907427250_l.jpg)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부담을 더는 데 초점을 맞췄다. 총지원 규모는 약 2조원에 이른다. 은행연합회 회원 은행들의 2022년 당기순이익(18조9369억원) 기준으로 약 10%에 해당하는 액수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개인별로 최대 150만원의 이자를 돌려받게 된다. 납부할 이자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캐시백 형태다.
최종적 상생금융 방안을 도출하기까지 풀어야 할 변수가 몇 가지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최대 난관은 은행별 지원금액을 배분하는 기준이다. 이 기준 설정에 따라 은행마다 떠안아야 할 지원액이 결정되는 만큼 최종 협의 과정에서 의견차가 생길 수 있다.
상생금융 방안 도출 과정이 매끄럽진 않았지만 서둘러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남은 협의기간 지원대상은 더 넓고 지원규모는 더 많이 신속하게 집행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금리·고물가 여파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극에 달하고 있어서다. 다중채무와 대출금 돌려막기 등 악성채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부실대출 규모는 어차피 은행의 건전성을 해친다. 연체상태가 심화되고 최악의 경우 파산으로 치달을 경우 금융권의 피해도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금융권에 대한 정치권과 일반 여론의 불신을 씻어내기 위해서라도 이번 상생금융 방안을 하루빨리 마무리 지어야 한다. 야당은 10일 내놓은 '횡재세 주요 쟁점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횡재세 법안을 발의해 금융권을 제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횡재세 도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다. 한국금융연구원은 횡재세 도입 시 헌법상 재산권 침해, 이중과세 금지 위반, 평등권 침해 등 법률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의 압박에 휘둘려 상생금융안을 내놔봤자 크게 호응을 얻기 힘들다. 금융기관의 사회적 역할을 보여주고 기업가치도 훼손시키지 않으려면 금융권의 자율적 의지로 지속가능한 상생금융 방안을 내놓는 게 바람직하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