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장착된 하드웨어 점점 일상 속으로 스마트폰 못지않게 TV가 주요기기 될것"
파이낸셜뉴스
2024.01.08 18:09
수정 : 2024.01.08 18:09기사원문
CES 주관 美 CTA 브라이언 코미스키 이사
!["AI 장착된 하드웨어 점점 일상 속으로 스마트폰 못지않게 TV가 주요기기 될것" [CES 2024 관전포인트]](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01/08/202401081809198351_s.jpg)
올해는 더 넓은 AI 생태계가 제공하는 것들을 발견하는 해가 될 것이다. 특히 AI가 장착된 하드웨어(온디바이스 AI)가 대세가 될 것이다. 또 컴퓨터나 스마트폰 못지않게 TV가 주요 AI 기기로 떠오를 것이다."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를 주관하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의 브라이언 코미스키 프로그램 담당 이사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미디어데이 이후 파이낸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와 올해 AI 트렌드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코미스키 이사는 이번 CES에서 TV를 눈여겨볼 것을 주문했다. 그는 "AI 프로세서를 떠올리면 대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생각하지만 미래 TV도 AI를 기반으로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격진료를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비롯해 사물인터넷(IoT) 시대 스마트 홈 제어에 TV가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AI 프로세서를 장착한 LG전자의 TV를 사례로 들었다.
메타버스도 올해 일상에 변화를 줄 아이템으로 전망했다. 코미스키 이사는 "AI가 물리적 환경을 가상세계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메타버스의 일종인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로봇 등 연관기술 영역에서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AI가 올해 CES의 테마를 넘어 우리 삶의 일부가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코미스키 이사는 "AI가 CES의 주제냐, 아니냐를 떠나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기에 올해 전시회에서도 어느 부스에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 기업에 대해 코미스키 이사는 "(CES 참가) 한국 기업들이 매년 많아지는 것은 놀랍지 않다"면서 "비록 혁신 아이디어의 발원지가 아니어도 그 아이디어를 밀어붙이고 혁신 이상의 것을 구현하는 삼성, LG, SK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