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대만 이어 올해 日 시장 진출...초정밀 접합 장비 일류기업 도약"
파이낸셜뉴스
2024.03.31 17:52
수정 : 2024.03.31 17:52기사원문
남기중 다원넥스뷰 대표
6월 코스닥으로 이전상장
!["中·대만 이어 올해 日 시장 진출...초정밀 접합 장비 일류기업 도약"[예비상장사 CEO 인터뷰]](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03/31/202403311752439636_l.jpg)
남기중 다원넥스뷰 대표이사(사진)는 3월 31일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의 포부를 이 같이 전했다. 다원넥스뷰는 지난 2009년 설립 이후 레이저 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테스팅 및 패키징 장비를 생산한다.
2019년 코넥스에 상장한 다원넥스뷰는 5년 만에 스팩(SPAC) 합병을 통해 오는 6월 코스닥시장으로의 이전상장을 앞두고 있다.
다원넥스뷰의 경쟁력은 레이저 기술력을 향한 '뚝심'이다. 주력 제품은 반도체 테스트 프로브카드 제조에 필요한 레이저 장비다. 전체 매출의 54%를 차지한다. 반도체 웨이퍼(원판)를 검사하는 프로브카드에는 머리카락보다 얇은 수만 개의 탐침이 부착된다. 이 과정에서 다원넥스뷰의 '레이저 마이크로 본딩' 장비가 탐침을 정교하게 접합·고정시킨다.
남 대표는 "그간 낸드 플래시용 장비에 집중해왔으나 최근 D램용 프로브카드에 필요한 본딩 장비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D램용이) 기존 장비 대비 2~3배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중국, 대만 등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해왔는데 올해 일본 등지로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도체 패키징 장비도 급부상한 제품 중 하나다. '솔더볼'은 패키지 기판을 회로와 연결시키는 접착 소재인데 다원넥스뷰의 '레이저 솔더볼 젯 시스템' 장비가 레이저로 미세한 크기의 솔더볼을 녹여 접합시킨다. 해당 장비는 지난해 매출 비중이 25%까지 증가했다.
다원넥스뷰는 탄탄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수주 잔고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2021년 39억원, 2022년 43억원에서 지난해 141억원으로 확대됐다. 최근 3년 사이 연 매출도 100억원을 넘었다. 2022년 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지난해 영업손실(6억원)로 돌아섰다.
코스닥 이전상장 이후 유입된 자금은 연구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 등에 쓸 계획이다. 남 대표는 "데모 장비 등을 확충해 고객사에 양질의 기술력을 선보일 것"이라며 "기존 사업군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해외진출, 마케팅 등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