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 뒤집힌 기업 실적, 이대론 재역전 어렵다
파이낸셜뉴스
2024.04.17 18:22
수정 : 2024.04.17 18:22기사원문
100대 기업 시총·영업이익 역전당해
기업에 대한 국가 지원 격차 탓 추정
![[fn사설] 대만에 뒤집힌 기업 실적, 이대론 재역전 어렵다](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04/17/202404171822177848_l.jpg)
한국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2013년 말 88조1953억원에서 지난해 말 71조6491억원으로 18.8% 줄었는데 대만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36조3947억원에서 86조960억원으로 13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총도 한국은 같은 기간 828조6898억원에서 지난해 1565조4222억원으로 88.9% 늘었지만 대만은 540조9574억원에서 1694조8700억원으로 205%나 증가했다고 한다.
대만 기업들이 영업이익과 시가총액에서 우리를 앞지른 데는 물론 양국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의 영향이 크다. 두 기업은 두 나라 100대 기업 전체 시총의 3분의 1을 각각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삼성전자가 이 기간에 급성장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 것은 맞지만, TSMC는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1980년대에 홍콩,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작은 용으로 불렸던 한국과 대만은 둘 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작은 나라라는 핸디캡을 극복하고 선의의 경쟁을 벌여왔다. 우리는 외환위기 등의 어려운 상황을 겪기도 했지만 대만을 멀찌감치 따돌리고 사실상 선진국에 진입했다.
늘 한국에 뒤진다는 열등감에 빠졌던 대만은 그사이 절치부심하여 한국을 따라잡은 것이다. 물론 100대 기업의 시총이나 1인당 GDP만으로 국력과 국가경제를 평가할 수는 없다. 다만 우리보다 더 작은 국가인 대만이 10년 만에 어떻게 우리를 추월했는지에 대해서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는 삼성전자의 도약을 바라보면서 흡족해했지만 TSMC는 삼성을 능가하는 성장을 달성했다. 삼성의 성장에 만족하고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이제는 삼성이 TSMC를 배우고 한국이 대만의 발전 비책을 전수받아야 할 판이다.
TSMC의 경우를 보면 반도체 등 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한 기업과 나아가 전체 국가경제의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뤄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국은 정책적 지원의 차이였다. 우리 정부가 곱씹어 봐야 할 대목이다. 지금과 같은 반기업 정서로는 앞으로 10년 후가 돼도 다시 우리 100대 기업과 한국 경제가 대만에 재역전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