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파격 K칩스법, 반도체 지원 경쟁 나서라
파이낸셜뉴스
2024.06.26 18:23
수정 : 2024.06.26 18:23기사원문
野 100조 지원안 공개, 당론 추진
정부·여당 협력해 입법 속도 내길
![[fn사설] 야당 파격 K칩스법, 반도체 지원 경쟁 나서라](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06/26/202406261823328734_l.jpg)
반도체 생산공장 운영에 필요한 전력·산업용수 공급과 기반시설에 대해 국가 책임을 의무화한 조항도 있다.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법안과 비슷한 대목도 있지만 지원 규모에선 더 파격적인 면도 보인다.
대표 발의에 나선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다음 주 초 이 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은 김 의원이 제시한 안을 당론으로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한다. 민주당은 새 국회 개원과 함께 상임위 독식, 막무가내 입법 폭주, 갑질 청문회 등 잇단 파행으로 비난을 샀다. 시간이 흘러도 반복되는 구태에 국민들 실망도 말할 수 없는 지경이었다. 이런 최근 행보와 비교하면 나아진 모습이다.
세계는 지금 반도체 국가대항전이 한창이다. 개별 기업의 힘만으로 이기기 힘든 전쟁이라는 걸 모두가 안다. 우리 정부도 부랴부랴 여러 대규모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지만 총력전을 펼치는 해외 사례와 비교하면 많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미국은 반도체 설비투자액의 최대 15%를 보조금으로 돌려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에 천문학적 규모의 투자를 발표한 것도 보조금 효과다.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이 반갑긴 하지만 이로 인해 국내 고용과 성장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은 심각히 고려할 사항이다. 미국의 파격 지원책은 국내 기업뿐아니라 대만의 TSMC 등 세계 칩 강자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인다. 이를 벤치마킹하듯 일본도 반도체 투자액의 5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각국이 과감한 지원책을 서두르는 것은 인공지능(AI)시대 반도체 생태계를 광범위하게 구축해야 미래 산업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판단도 한몫했다. 이런 급박한 구도에서 뒤처지지 않게 과감한 지원책으로 산업을 뒷받침하는 것이 정부와 정치권의 책무라 할 것이다.
여야가 추진 중인 법안들에 보완할 부분도 적지 않다. 세제 혜택뿐 아니라 전력 공급 등 인프라 지원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 반도체 공장에는 막대한 양의 전기가 필요한데 송배전망을 비롯한 전력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실효성 있는 세부 계획이 보강돼야 한다. 신속한 입법 처리도 더없이 중요하다. 정치권의 협력과 선한 경쟁을 기대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