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로변에도 상가 공실 넘쳐나는데 상권회복 기대감에 치솟는 임대료
파이낸셜뉴스
2024.12.22 18:36
수정 : 2024.12.22 18:36기사원문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신촌이대상권 공실률 전국 두배
"접근성 좋아진다" 상인들 기대
"오랜 침체에 회복 더딜 것" 우려

지난 20일 방문한 연세로에는 굳이 찾지 않아도 상가 공실이 쉽게 눈에 띄었다.
지하철 2호선 신촌역 3번 출구에서 150m를 직진하는 구간에만 상가 1층 매장 4곳이 비어 있다. 모두 유명 화장품이나 의류 브랜드 등의 가맹점이 있던 곳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신촌이대 상권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2·4분기 기준 18.6%다. 전국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8%, 서울은 6.5%인 데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 주요 상권에서는 연신내를 제외하고 신촌이대 상권의 공실률이 가장 높다.
이런 상황에 이뤄진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에 상인들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봉수 신촌이대상가번영회장은 "해제가 늦어진 점은 아쉽지만 연세로 차량 통행을 기점으로 신촌으로의 접근성이 좋아지고 발전할 기회가 마련됐다"며 "앞서 진행한 시범 해제 기간에 상권 매출이 올랐던 점에 비추어 이번 해제를 반기는 상인들이 많다"고 전했다.
하지만 상권 회복을 위해서는 임대료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연세로 내 부동산을 운영하는 공인중개사 A씨는 "오랜 시간 상권 침체가 이어진 만큼 대중교통전용지구가 해제됐더라도 급격히 좋아지기는 힘들 것"이라며 "매출이 나오지 않는 와중에 임대료가 내려가지 않은 점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공인중개사 B씨도 "최근 계약이 이뤄진 상가는 원래 임대료의 50% 이상을 빼준 곳들"이라며 "지금 상황에는 50% 정도는 임대료를 내려줘야 적정 가격이라고 보이는데 임대인은 월세 1000만원을 900만원까지만 내려도 많이 깎아줬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연세로 대로변 1층 매물 중에는 전용면적 약 100㎡가 월세 2000만원에 나와 있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