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이재명 AI 추경? 작년 예산증액 거부한 게 민주당…쇼 말라"
파이낸셜뉴스
2025.02.03 10:50
수정 : 2025.02.03 10:50기사원문
"지금 와서 처음 듣는 것처럼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건 뭔가"
"추경 논의한다면 올해 본예산 보완 추경 돼야 할 것"
"반도체법 52시간 예외 특례 적용해야"
"연구현장 이해해야"

[파이낸셜뉴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최근 인공지능(AI) 분야 등에 대한 추가경정예산안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에 대해 "지난해 12월 당시 AI 등 경제활성화 예산 증액을 거부하고 예산을 강행 처리한 게 민주당"이라고 직격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3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이재명 대표가 그냥 모른 채 하고 마치 본인이 AI 등 경제활성화 예산을 챙긴 정치인으로 남도록 숟가락 얹어보겠다는 심보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국민들은 지난해 12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잘 알고 있으니 더 이상 쇼하지 말길 바란다"며 이처럼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정책위의장은 "그런데 갑자기 지금 와서 처음 듣는 것처럼 AI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건 무엇인가"라며 "어안이 벙벙하고 기가 막힌다"고 덧붙였다.
김 정책위의장은 향후 올해 예산안에 대한 추경 논의가 이뤄진다면 정부·여당이 제시한 본안이 보완되는 수준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향후 여야정 국정협의체에서 추경을 논의해야 한다면 이는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강행 처리한 2025년도 본예산 보완 추경이 돼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다시는 예산안을 일방 강행 처리하지 않겠다는 대국민을 약속을 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김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논의되는 주요 안건들이 여야의 협의 과정과 합의 정신을 존중하는 관례 하에서 처리되길 바란다"며 "그렇지 못할 경우 정치적으로나 국가적으로도 불행한 일이 계속될 수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경고했다.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 연구인력에 대한 주52시간제 예외 특례 조항이 관철돼야 한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일반기업은 시간을 기초로 일하기 때문에 주52시간제가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지만, 연구개발(R&D) 분야는 다르다. 연속적으로 집중력 있게 R&D에 매진해야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며 "이처럼 특성이 다른데 일반기업처럼 시간 규제를 하니 현장에서 어려움을 토로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선 주52시간제 고착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목표지향적이어야 할 연구현장 분위기가 시간지향적으로 변하면서 연구력이 저하됐다는 문제점을 꼽는다"고 전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미국의 엔비디아와 대만의 TSMC 연구원들은 필요 시 시간제약 없이 연구하지만 우리는 하고 싶어도 못한다고 한다"며 "자유롭게 시간제한 없이 연구할 수 있도록 주52시간제 특례를 인정해주는 것이 반도체 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짚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