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앞둔 백악관, 韓 콕 집어 "무역적자국, 장벽 낮춰라"
파이낸셜뉴스
2025.03.18 17:40
수정 : 2025.03.18 17:45기사원문
케빈 해싯 美백악관 NEC 위원장
유럽·중국·한국 비관세 장벽 지적
이미 소고기 수입제한 해제 요구
약값 책정 정책 등 문제 삼을수도
■"한국 무역적자 수년째"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유럽과 중국,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가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싯 위원장은 "이런 무역적자가 존재하는 이유는 비관세장벽이 있고, 관세가 높기 때문에 미국 기업들이 경쟁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의 주요 관계자들이 비관세장벽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2월 상호관세 행정서명에서 비관세장벽 문제를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13일 서명한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에는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뿐 아니라 부가가치세, 역외의 세금 등이 모두 상호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대상에 포함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산업 보조금, 각종 규제, 환율조작 여부 등도 상호관세 부과의 근거로 삼겠다"고 밝히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5일에는 트루스소셜에 "우리 제품을 각국 영토 밖으로 내몰기 위해 부과하는 비금전적 관세와 무역장벽을 상호관세 부과에서 고려할 것이라면서 각국 정부가 그 나라 기업에 주는 보조금에 대해서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비관세장벽 논란도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고 다수 품목에서 서로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해싯 위원장의 발언은 한국에 위기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특히 해싯 위원장이 유럽, 중국과 함께 한국을 거론함에 따라 관세 등 무역협정의 칼날이 한국으로 향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미 유럽과 중국은 미국과 서로 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전쟁을 시작했다. 한국은 지금까지 직접적으로 거론되지 않았다.
미국이 한국에 거론할 비관세장벽으로는 최근 다시 제기되고 있는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제한, 한국의 약값 책정 정책, 스크린 쿼터제 등이 대표적이다. 미국은 앞서 방미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을 통해 한국의 비관세장벽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비관세장벽의 예로 각국의 부가가치세를 자주 언급한 만큼 한국의 부가세와 조세제도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theveryfirst@fnnews.com 홍창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