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걸린 가계대출...재차 대출 옥죄는 은행권
파이낸셜뉴스
2025.03.23 15:59
수정 : 2025.03.23 15:59기사원문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앞으로 KB국민·신한·하나은행에서 주택이 1채라도 있는 차주는 수도권에서 집을 매수할 경우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다. 우리은행도 오는 28일부터 유주택자에겐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주택 구입 목적의 신규 주택담보대출을 취급을 중단한다.
그간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서는 유주택자라도 제한없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집값 과열을 막기 위해 은행권에 자율 관리를 주문하면서 전방위적으로 대출 문턱이 대폭 높아지고 있다.
올해 초 완화되던 가계대출 규제에 재차 불이 지핀 이유는 토지거래허가구역 번복 등으로 집값 상승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이후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오르고 인근 지역으로 매수가 확산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증가했다.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583조3607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3836억원 급증했다.
당국이 가계대출 관리에 힘을 주면서 금리 인하기에 들어섰음에도 외려 금리가 오르는 상황이다. 24일부터 수도권의 신규 분양 주택을 담보로 디딤돌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0.1%p 의 우대금리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가 디딤돌 대출이나 버팀목 대출을 신청할 때 만기까지 받았던 0.3%p 우대 금리도 디딤돌 대출은 5년, 버팀목 대출은 4년으로 각각 줄어든다.
현재 은행권은 금리 인상 카드까진 꺼내고 있지 않다. 우선 주담대 신규 취급 중단 등 비가격적 조치와 금리 인하를 미루는 방식으로 관리하겠다는 분위기다. 하지만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을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가산금리가 인상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기에 접어든 상황이라 인상 카드는 검토하고 있지 않지만,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할 예정"이라며 "대출 금리를 내리면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 가산금리 인상을 실시할 정도는 아니지만, 모든 대책을 시행했음에도 잡히지 않으면 금리에 손을 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