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실 재기능 본격화..AI안보협의회 출범
파이낸셜뉴스
2025.03.28 16:40
수정 : 2025.03.28 16:48기사원문
尹탄핵 후 부처에 간섭 않던 안보실
韓복귀에 "트럼프 대응" 외치며 전면에
AI안보협의회 신설하며 본격 행보 나서
국정원·행안부·국방부 등 7개 기관 참여
"AI 사이버안보 위협 선제적 대응 필요"

[파이낸셜뉴스] 국가안보실이 외교·안보현안 대응을 위한 중심 역할에 복귀키로 한 지 사흘 만인 28일 본격적으로 행보에 나섰다. AI(인공지능) 관련 안보 위협 대응을 위한 회의체를 신설하면서다.
왕윤종 안보실 3차장은 이날 국가정보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국방부·행정안전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등 7개 정부기관 국장급 인사들을 불러 모아 AI안보협의회를 출범시켰다.
이 같은 AI 안보와 관련한 정책과 현안을 두고 안보실을 중심으로 유관기관이 대응책을 마련하는 게 AI안보협의회의 역할이다. 국정원이 간사기관을 맡고 별도 실무그룹을 꾸리며, 민간 전문가들과의 협의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첫 회의에선 먼저 AI 안보 위협 실태와 부처별 대응 현황을 살피고, 협력 과제들을 정리했다.
왕 차장은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는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는 반면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며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인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보실은 지난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 대응을 비롯한 현안들을 두고 “안보실을 중심으로 외교·안보부처 간 긴밀한 정보공유 및 협업 체계를 유지해나갈 것”이라며 재기능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안보실은 윤석열 대통령 직무정지 이후 외교부·통일부·국방부를 비롯한 외교·안보부처에 대한 주도권이 일부 약화됐다. 정보공유는 유지하지만 정책결정에는 안보실이 관여하지 않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미 측과 소통하는 등 별도의 행보를 보였다.
그러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직무복귀하며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외교·안보현안 대응을 위한 범정부적인 협업을 지시한 데 따라 안보실이 다시 중심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