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2017년 헌재 앞 어땠나보니
뉴시스
2025.04.03 06:05
수정 : 2025.04.03 06:05기사원문
경찰, 박근혜 전 대통령 선고날 '갑호비상' 발령 탄핵 인용 직후 지지자 헌재 진출 시도, 일대 아수라장 사망자 4명, 부상자 수십여명…경찰·기자 폭행도 여럿 경찰, 시위 격화되자 캡사이신 살포하며 제압 나서
3일 뉴시스 취재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었던 지난 2017년 3월10일 경찰은 최고 수위 경계태세인 '갑호 비상'을 발령하고 헌재 주변 경비를 강화했다. 서울 전역에는 271개 부대, 2만1600여명의 경력을 투입했다.
시위가 격화되기 시작한 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된 직후였다. 지지자들은 "헌재로 쳐들어가자" "뒤쪽은 청와대로 진격한다"고 외치며 헌재 방향으로 진출을 시도했고, 일대는 아수라장이 됐다.
이 과정에서 수십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사망자도 나왔다. 낮 12시15분께 안국역 4번 출구 인근에서는 60~70대로 보이는 남성 지지자 한 명이 쓰러져 119 구급대원으로부터 심폐소생술을 받은 실려갔으나 끝내 숨졌다.
오후 1시께 안국역 사거리에서 머리를 다친 상태로 발견된 70대 남성도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을 거뒀고, 오후 1시50분께 안국역 사거리에 설치돼 있던 경찰 버스에서 추락한 50대 남성도 중상을 입었다.
이후 병원으로 이송됐던 부상자 2명이 숨지며 사망자는 총 4명으로 늘었다.
특히 경찰 소음관리차량 위에 설치돼 있던 스피커를 떨어트려 70대 남성을 숨지게 한 혐의로 60대 남성이 긴급 체포됐다. 해당 남성은 소음관리차량을 들이받아 철제 스피커를 떨어트린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다수의 경찰이 시위대가 던진 물건에 맞아 피를 흘리는 등 부상을 입었다. 경찰은 시위 양상이 격화되자 캡사이신을 살포하면서 제압에 나선 바 있다.
경찰은 오는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재 반경 150m 구간을 '진공 구역'으로 설정하고 전면 통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차단선이 너무 가까워 방어에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통제 범위를 기존 100m에서 150m로 확대했다.
또 경찰버스 160여대, 차벽트럭 20여대 등 총 200여대의 장비를 투입해 헌재 내부에는 경찰특공대 20여명을 배치해 테러 상황에 대비할 예정이다. 인사동에서 수운회관 구간 등 찬반 진영 접점에는 완충구역을 설정해 충돌 방지에 주력한다.
☞공감언론 뉴시스crystal@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