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배민' 직격 이재명 지지·'공공 배달앱 개발' 참여 선언
뉴스1
2020.04.07 19:05
수정 : 2020.04.07 19:05기사원문


이재명 지사 지난 4~5일 이틀 연속 페이스북을 통해 배달의 민족에 대한 글을 올리고,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공공앱 개발을 선포했다. 2020.4.6/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수원=뉴스1) 진현권 기자,유재규 기자 = 경기 수원시가 최근 배달 주문 서비스 '배달의 민족'의 수수료 문제를 지적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적극 지지하며 공공 배달앱 공동개발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염 시장은 "이 지사가 제안한 '공공 배달앱 개발'은 보충성의 원리가 작동하는 좋은 사례"라며 "기초지방정부 차원에서는 규모의 경제가 따라주지 않아 성공여부를 확신할 수 없는 사업이었는데 도가 앞장서 준다면 전례없는 성공을 기대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염 시장이 밝힌 '보충성의 원칙'은 주민들이 원하는 일은 주민들과 가장 가까운 기초지방정부가 담당하고 광역과 중앙정부는 이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미다.
그는 "배달의 민족이 내놓았던 수수료 개편안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분노하게 만들었다"며 "시는 시민들과 자영업자, 배달노동자 모두가 만족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 배달앱 공동 개발과 활성화에 적극 참여하고 협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1일 배달의 민족 운영사인 '우아한 형제들'은 광고수수료를 기존 월 8만8000원 정액에서 건당 부과방식인 정률제(매출의 5.8%(기존 6.8%))로 변경했다.
이에 이 지사는 지난 5일 페이스북을 통해 "모두가 어려운 시기 특히,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극심한 이때 배달의 민족 등 배달앱 업체들이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일방적 이용료 인상으로 과도한 이윤을 추구하며 자영업자들을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공정국, 노동국, 자지행정국과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경기도주식회사, 경기도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과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와 함께 '배달 앱 독과점 및 불공정 거래 관련 대책회의'를 열어 공공 배달앱 개발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배달의 민족의 우리나라 배달앱 시장 점유율은 55.7%에 달한다. 이어 요기요 33.5%, 배달통 10.8% 순이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에 대해 수수료를 올리기 위한 꼼수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배달의 민족이 도입한 오픈서비스에 대한 매출이 높은 가계일수록 소상공인에게 큰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기존 배달의 민족의 앱 '울트라콜'을 3건 이용하면 수수료가 26만여원 정도 되는데 변경된 정률제를 적용하면 업소(배달의 앱 이용 매출 3000만원)는 수수료로만 174만여원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배달의 민족이 150여만원 정도를 더 가져가므로 독과점 횡포라는 것이다.
우아한 형제들은 이에 수수료 5.8%가 전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수료이며 많은 '울트라콜'을 독식해온 소수업체를 배제함으로써 나머지 업체들이 혜택을 볼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