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단단한' 탄핵반대 4.01만 vs. '줄어든' 탄핵찬성 1.96만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30 06:00

수정 2025.03.30 06:00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4월로 미뤄져
탄핵반대 집회 규모 4만명대 유지
탄핵찬성 집회 규모 2만명 못 넘겨
야5당 참여 독려에도 찬탄 광장여론 '미지근'
이재명 무죄에 尹복귀 여론 작동..보수층 결집
초조한 민주 '줄탄핵' 경고에 의구심 작용한 듯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 일대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과 자유통일당 등 보수단체 회원들이 탄핵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 일대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과 자유통일당 등 보수단체 회원들이 탄핵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29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 인근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참석하에 열린 야5당 대통령 탄핵 촉구 사전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 인근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참석하에 열린 야5당 대통령 탄핵 촉구 사전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종결 이후 한달이 지났음에도 선고가 거듭 연기되는 가운데 주말 열린 윤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에는 4만100명이 집결했고, 탄핵찬성 집회에는 1만9600명이 모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탄핵안 기각으로 복귀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직선거법 항소심 무죄 선고를 받는 등 정국이 요동을 쳤지만 탄핵반대 집회 여론은 결집하고 탄핵찬성 집회 여론은 느슨해진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선거법 무죄 선고로 이재명 대표의 독주가 예상되자 보수진영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복귀만이 대안'이란 여론이 형성됐고, 민주당이 극진보 성향 논란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미임명시 국무위원 '줄탄핵'을 경고한 것에 반발 심리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탄 4만명대 유지..찬탄 2만명 못 넘겨

29일 경찰의 비공식 추산에 따르면 '탄핵 반대' 집회 규모는 총 4만100여명으로 집계됐다.

자유통일당 주최 광화문에서 열린 탄핵반대 집회에 최대 3만명이 모였고, 개신교계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전국 9개 지역에서 개최한 탄핵반대 집회에는 9600여명이 참석했다.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집회에 3000명이, 울산 남구 번영사거리에서 열린 집회에는 6000명 이상이 모였다.

'탄핵 찬성' 집회 규모는 최대 1만9600여명으로 추산됐다.

광화문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야5당 공동 비상시국 대응 행사에 1만명이, 촛불행동에서 2000명, 민주노총에서 500명이 참석한 것으로 집계돼, 이를 합쳐 퇴진비상행동 행사에 최대 1만5000명이 모인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 등 10개 지역에서도 총 4600여명이 탄핵 찬성 집회에 참석, 부산에는 1400명이, 광주에선 700명이 탄핵찬성을 외쳤다.

당초 3월초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나올 것으로 예상됐으나, 아직 선고 일정이 안 잡혀 각종 추측 속에 탄핵찬반 진영의 장외 여론전은 꾸준히 전개됐다.

3월 첫주 3.1절 대규모 집회를 통해 12만명 이상이 탄핵반대 집회에 집결하면서 세를 과시한 탄핵반대 집회는 윤 대통령 구속취소 이후에도 6만명대 집회 규모를 이어갔다. 이후 주말마다 4만명대 규모의 탄핵반대 집회 여론이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탄핵찬성 집회의 경우, 3.1절에도 2만명대에 그쳤고, 3월 셋째주 민주노총에서 1만5000명이 추가됐던 것을 제외하면 야5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참석을 독려해도 탄핵찬성 집회 규모는 늘지 않았다.

더구나 이번 주 탄핵찬성 집회 규모는 지난 주 대비 줄어들면서 2만명을 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울산시 남구 번영사거리 일원에서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주최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울산시 남구 번영사거리 일원에서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주최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한창민 사회혁신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가 29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에서 열린 야5당 대통령 탄핵 촉구 사전집회에 참가해있다. /사진=뉴시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한창민 사회혁신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가 29일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에서 열린 야5당 대통령 탄핵 촉구 사전집회에 참가해있다. /사진=뉴시스

■초조한 野, 줄탄핵 외쳐도..찬탄집회 호응 적어

이재명 대표 항소심 무죄선고 이슈에 힘입어 민주당 초선 의원들은 자신들이 추천한 극진보성향 논란의 마은혁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을 경우 국무위원들을 모두 탄핵시키겠다는 '줄탄핵' 경고에 나섰다.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당초 2말3초를 넘겨 4월로 넘어가면서 일각에서 탄핵 기각 또는 각하 전망까지 나오자, 민주당이 초조함에 강공모드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야당의 거센 압박과 장외집회 참석 독려에도 탄핵찬성 집회 규모는 좀체 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광장 여론을 중시하는 야권이 지지자들의 참석을 늘리려 해도 확실히 8년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과 달리 장외 여론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각에선 이러한 탄핵찬성 장외여론 활성화 부진은 거대야당에 대한 의구심이 작용한 결과로 보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야5당 집회에 1만명, 촛불행동 집회에 2000~3000명이 꾸준히 참석하는 것을 제외하면 탄핵찬성 집회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고 있다"면서 "다급해진 거대야당이 계속 무리수를 두는 것에 시민들이 거부감을 느끼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탄핵찬성 집회는 민주노총이나 진보 진영 시민단체 위주로 진행된다"면서 "그에 비해 탄핵반대 집회는 시민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탄핵 찬반집회를 통한 여론 추이를 살펴봐도, 단단히 뭉치는 탄핵반대 여론과 헐거운 탄핵찬성 여론 구도가 거듭 재확인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헌재 선고가 계속 미뤄지면서 탄핵찬성을 응답하는 사람들은 '탄핵결과가 바뀔 수 있겠구나'라는 정도의 생각으로 관망하지만, 탄핵반대 응답자들은 '탄핵기각 또는 각하'를 외치며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