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25일 전화통화는 향후 대북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양국간 긴밀한 협력이 이뤄질 것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부시 대통령의 새 공화당 행정부가 남북관계 및 대북관계 개선에 적극성을 보였던 클린턴 전 대통령의 민주당 행정부와 달리 한반도 정책추진에 있어 경직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부시 대통령이 당선자 시절인 지난해 12월 16일 김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조속한 정상회담 일정을 잡자’고 한데 이어 이날도 먼저 전화를 걸어 “직접 만나 의견교환을 갖기를 바란다”고 말한 것은 향후 한반도 정책수립 과정에서 김 대통령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시 대통령이 “그동안 김 대통령이 대북정책을 추진하면서 성취한 내용들을 잘 알고 있으며 이를 높이 평가한다”며 최근의 남북 화해협력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향후 한·미 대북정책 공조 전망과 관련,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함께 두 정상이 대북정책 협의 등을 위해 ‘가능한 한 이른 시일내에’ 만나기로 합의한 것은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에도 불구하고 한미 양국간 전통적인 우호관계가 변함없이 유지될 것이라는 점을 거듭 확인시켜준 것으로 보인다.
이날 통화에 비춰 두 사람의 첫 정상회담은 오는 3월쯤 워싱턴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회담에서 두 정상은 남북관계의 진전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도 긴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향후 대북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양국이 긴밀히 협력하자는데 의견을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남북한이 합의하고 미국과 중국이 보증하는 이른바 ‘2+2’ 방식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과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등 각론에 관한 입장을 상호 조율할 것으로 기대된다.
/ seokjang@fnnews.com 조석장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