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공기업

캠코(자산관리공사) 왜 계속 도마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4.12.02 12:13

수정 2014.11.07 11:44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출범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감사원의 공적자금 낭비 지적, 검찰의 대우건설 매각주간사 선정 비리 조사, 금감원의 첫 종합감사 등 캠코를 둘러싼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걸러진 의혹이 재탕·삼탕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등 최근 일련의 사태는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고 있다.

◇잇따라 제기된 의혹들=경영진의 공금유용혐의는 지난해 초 이미 걸러진 사안이다. 연원영 캠코 사장이 임원들과 함께 매달 월급에서 수십만∼100만원을 떼어 업무추진비를 조성, 공금을 유용했다는 투서가 지난해 1월 접수돼 연사장은 경찰 조사까지 받았다.
그러나 공금 유용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오면서 이 일은 마무리됐다.

올초에는 감사원의 공적자금관리실태 감사에서 또 한차례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원은 지난 5월 캠코가 정부가 보증한 대한주택보증의 채권 99억원어치를 외국계 투자사에 헐값에 처분했다며 관련자를 검찰에 고발한 것이다. 그러나 이 사안도 무혐의 처분이 내려졌다.

대우건설 주간사 편법선정은 캠코가 가장 아파하는 부분이다. 올초 전 캠코 감사가 대우건설 매각 주간사 선정과정에 문제가 있다며 담당자를 검찰에 고발하면서 문제가 불거진 것.

당시 캠코는 담당자를 대기발령하고 검찰수사를 기다리는 한편, 절차상의 이유를 들어 LG증권 컨소시엄의 주간사 선정을 취소했다. 지난달 다시 매각주간사 선정작업을 벌여 삼성증권-씨티그룹컨소시엄을 주간사로 결정하면서 사건이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러나 최근 검찰이 관련자를 불구속 기소하면서 문제가 수면밖으로 떠올랐다. 현재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자들의 금품수수 의혹은 아직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금감원은 2일 캠코에 대한 첫 종합감사에서 인력을 3배 수준으로 늘리고 검사 수준을 높이는 등 전방위검사에 나섰다.

◇환경변화 적응 실패가 원인=그렇다면 캠코가 검찰·감사원·금감원의 집중포화를 맞는 이유는 무엇인가. 금융계 관계자는 외부보다는 내부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우선 캠코가 환경변화 적응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유재산 공매를 주업무로 하던 성업공사는 외환위기 이후 현 사명으로 개명되면서 공적자금 집행기관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외환위기 이후 캠코는 총 110조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40조원에 사들여 이중 80조원어치를 35조8000억원에 정리하는 등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공적자금 회수율이 낮다는 지적과 함께 부실자산 매각과정에서 잡음이 제기되면서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더욱이 부실채권 정리가 상당폭 진행되면서 조직축소 압력을 받아왔다.

이때 대대적인 조직혁신에 실패한 것이 화를 불렀다는 지적이다. 감사원이나 금감원 등 감독당국 입장에서는 캠코가 변화의 흐름에 합류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야심차게 추진했던 배드뱅크 ‘한마음금융’마저 예상보다 실적이 밑돌면서 더욱 위기에 몰리게 된다.

일부에서는 조직 결속과 내부단합의 실패에서 원인을 찾는다. 불과 몇년 새 갑자기 조직이 커진 만큼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는 하지만 부사장 자리가 1년 가까이 공석인 상태로 운영되고 전 감사가 회사비리를 폭로하고 임직원 비리에 대한 투서가 서로 오가는 등 조직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
이같은 내부균열이 부실카드채권 등 국부유출 방지, 한마음금융 출범을 통한 신용회복 지원, 부실기업 정리 등 굵직한 성과를 희석시켰다는 지적이다.

연원영 사장의 임기는 내년 1월초 임기가 끝난다.
누가 후임사장이 되더라도 실추된 이미지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캠코가 제자리를 찾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 phillis@fnnews.com 천상철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