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이젠 금융허브다-한국자산관리공사]인터뷰/김우석 캠코 사장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5.01.10 12:22

수정 2014.11.07 23:09


김우석 캠코 사장은 10일 “동북아 부실채권시장에 투자하는 토종 투자전문기관의 육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사장은 “전 세계 부실채권 시장은 구미 선진국의 유수한 회계법인과 투자은행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며 “최근 동북아 지역에서 외국의 투자은행들이 적극적인 시장진출을 모색하고 있는만큼 우리도 하루빨리 시장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의 부실채권 투자자는 주로 모건스탠리, 골드먼삭스, 도이치방크 등이며 펀드로선 콜로니 캐피탈이 상하이 지방정부와 5억달러 규모의 부실채권펀드를 조성해 부실채권을 사들였다.

김사장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중국 등 동북아 구조조정 시장에 진출할 경우 초기에는 캠코와 같은 공기업이 일정 리스크를 부담하면서 시장을 리드해 국내 민간기업들이 원할히 진출할 수 있는 가교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부실채권시장 진출의 당위성에 대해 그는 “부실채권사업은 명확한 시장전망과 복합적인 금융상품을 활용해야 하는 고도의 금융지식이 필요한 분야”라며 “상당한 위험이 따르지만 그만큼 기대수익도 많아 결코 놓칠 수 없는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김사장은 “부실채권이나 구조조정 관련 업무는 다른 사업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며 “특히 금융 및 기업관련 법률, 회계, 세제, 부동산 등의 영역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외국 구조조정시장 진출에 대한 어려움에 대해 그는 “아직 국내기관투자자들의 해외 구조조정시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데다 이들 기관이 해외로 진출하는데에도 어려움이 많다”며 “다만 이미 오래전부터 해외부실채권정리기구와의 협력관계를 맺어온 캠코를 활용하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향후 계획에 대해 김사장은 “중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의 구조조정 시장 환경 및 위험요인 뿐 아니라 자본·외환시장, 법률, 세제·회계 등 투자관련 제도를 철저히 검토해 민간투자자의 시장 진출을 돕겠다”며 “중국 4대 자산관리공사, 일보의 정리회수기구 등과의 업무협력 네트워크도 공공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캠코는 이와함께 현재 추진중인 중국 자산관리공사와 부실기업의 인수합병(M&A) 컨설팅 업무 등은 계속 추진하고 중국 국유기업의 정리자문 업무의 추가 수주를 위해 마케팅도 강화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김사장은 “캠코가 국내 민간투자기관의 해외 부실채권 투자를 주선, 자문하고 동북아 구조조정시장의 전문기관으로 발전된다면 정부가 추진중인 동북아 금융허브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 phillis@fnnews.com 천상철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