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도·감청 차단 ‘비화폰’ 관심…국내·외 기술문의 잇따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5.08.07 13:33

수정 2014.11.07 15:33


지난 5일 국가정보원의 휴대폰 도·감청 사실 인정을 계기로 일명 ‘비화폰’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비화폰은 제 3자의 도·감청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된 휴대폰이다.

최근 국내 비화폰 기술을 보유한 휴대폰 업체에서는 비화폰 제조기술과 구입 문의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잇따르고 있다.

7일 휴대폰업계에 따르면 해외 정부기관이나 유통업자들이 삼성전자, LG전자, 팬택앤큐리텔 등 비화폰 제조기술을 보유한 휴대폰 업체에 대한 접촉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비화폰 기술을 보유한 휴대폰제조사는 삼성전자, LG전자, 팬택앤큐리텔 등 3곳이다.


이중 지난 2003년 독자 개발한 암호 알고리즘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상용 제품을 선보인 팬택앤큐리텔이 주목받고 있다.

팬택이 당시 개발한 비화폰은 유무선 구간에 구분없이 도·감청을 원천 차다하도록 제작됐다.

팬택앤큐리텔은 “도·감청 방지를 원하는 고객층을 위해 비화폰을 개발해 상품화에 나섰다. 하지만 장기적인 상품성이 낮다는 판단아래 상용화를 하지 않았다”며 “일부 휴대폰 도·감청 논란으로 인한 부담도 일부 작용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앞서 지난 2000년초 비공개적으로 소량의 비화폰을 만들어 일부 정보기관 등에 공급한 것으로 전해져 언제든 대량 상용화가 가능한 상황이다.

두 회사는 다만 공개적으로 비화폰을 상용화할 경우 자칫 휴대폰 도감청 논란에 휩싸일 수 있어 아직까지 제품 상용화를 망설여왔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두 회사 관계자는 “비화폰 기술이 없어 상용화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상품성이 낮은 것과 도감청 논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었다.

이런 와중에 중국, 동남아 등 해외에서 직·간접적인 경로로 국내 비화폰 또는 비화폰 제조기술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 국가는 보안을 요하는 국가기관이나 주요 인물 등에게 비화폰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비화폰 구매를 의뢰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휴대폰 제조사는 어쩔 수 없이 해외의 비화폰 및 제조기술 판매를 거절하고 있다.
이는 자칫 비화폰 기술유출이나 도감청 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 비화폰이나 비화폰 제조기술을 팔라는 요구가 물밑으로 심심치 않게 들어오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비화폰이 국내에서 상품화되지 않았고 또한 검증도 안되었기 때문에 해외에 수출하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더욱이 비화폰 기술을 해외에 넘기면 자칫 기술유출에 해당할 수 있어 불가능한 측면이 있다”며 “정부에서도 비화폰 기술의 해외제공을 막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 hwyang@fnnews.com 양형욱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