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용 피임약이 기형아 출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병원 삼부인과 한정렬 교수팀은 이 병원이 운영하는 기형유발물질 상담센터인 ‘마더리스크프로그램’을 방문한 3,51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추적조사한 결과, 임신초기 임신인 줄 모르고 피임약을 복용했더라도 태아에게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출산한 산모를 ‘노출된 약물이 없는군(2,983명)’과 ‘일반 약물 노출군(401명)’ ‘피임약 노출군(128명)’으로 분류해 기형아 발생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노출된 약물이 없는 군에서는 3.0%(88명), 일반 약물 노출군은 3.7%(15명), 피임약 노출군은 2.3%(3명)로 임신부가 임신초기 경구용 피임약에 노출되었더라도 태아기형아 출생률은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산시 체중 및 임신주수 그리고 조산율, 저체중아 및 거대아출산률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병원 한정렬 교수는 “이번 조사 결과, 임신부가 임신초기 경구용 피임약에 노출되었더라도 태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며 “임신초기 임신사실을 모르고 피임약을 복용한 경우라도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임신초기라 할지라도 여드름 치료약인 로아쿠탄, 혈액응고억제제인 와파린 등의 약물은 태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이러한 약물에 노출된 임신부들은 꼭 전문의와 상담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피임약의 경우 임신 10주경에 노출시 아기가 여아인 경우 아기의 성기가 비후되는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서 임신부들의 각별한 주위를 당부했다.
하지만 임산부가 피임약을 먹은 경우 주위에서 중절 권유받은 경우가 50%에 이르며 ‘임신부가 인식하고 있는 피임약으로 인한 기형아 발생률’은 43%에 이르는 등 약물에 노출된 임신부들이 겪는 심리적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정렬 교수는 “태아기형 위험률과 관련해 전문의와 상담 한 임신부의 경우 상당을 받은 후 임신 중절경향이 약 3분의 1로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pompom@fnnews.com정명진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