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로 만든 가공식품을 통해 밀가루를 대체하는 방안이 거론되면서 쌀국수, 쌀라면 등 쌀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정부는 3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서민생활부담 경감대책의 하나로 쌀국수, 쌀라면을 개발·보급하는 방안을 적극 논의했으며 구체적인 사업방안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밀의 경우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 가격이 폭등해도 ‘울며 겨자 먹기’로 수입을 해야 하지만 쌀은 의무수입물량(MMA)을 통해 원치 않는 수입까지 이뤄져 공급 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한 해 22만t 정도 들어오는 가공용 의무수입(MMA) 쌀 대부분은 주정으로 공급되고 있다.
쌀을 가공식품으로 이용하는 데 기술적이나 공급상 문제는 거의 없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지난 1월 말 밀가루를 첨가하지 않고도 100% 국산쌀만 사용하는 국수 생산기술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쌀 가공식품에 무조건 큰 기대를 걸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고급밀 가격과 수입쌀 사이에 역전 현상이 있긴 하지만 가공용의 경우 가격 경쟁력에서 밀가루가 쌀가루에 비해 여전히 압도적인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가공업체에서 공급받는 수입 밀가루 가격은 1㎏당 700원인 반면 같은 중량의 수입 쌀가루는 1100원으로 쌀가루가 40%가량 비싸다.
특히 활용 대상을 국산쌀(1㎏당 1373원)로 확대한다면 높은 단가 때문에 타산을 맞추기 힘들어 서민용 ‘쌀국수나 쌀라면’ 생산은 사실상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부 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쌀 가공식품에 대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체 관계자는 “쌀라면이나 쌀국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책들이 별도로 만들어져야 한다”며 “아직은 쌀가격이 높기 때문에 시장에 의존하기보다는 정부와 업체가 나서 시장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쌀 첨가 라면을 생산하고 있는 삼양라면 관계자는 “쌀라면은 대체로 면발의 찰기가 떨어진다는 소비자들의 반응 때문에 한때 생산을 중단한 적이 있다”며 “2001년부터 다시 쌀라면을 생산한 뒤 일부 마니아들에겐 사랑을 받고 있지만 전체 판매량은 여전히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국산 쌀과자의 대명사인 ‘쌀로별’을 생산하고 있는 기린 관계자는 “밀 가격이 쌀보다 비싸졌다고 하나 가공용 쌀가루는 밀가루에 비해 최고 2배가량 오히려 더 비싸다”며 “가공업체에서 쌀가루 비율을 높이면 당연히 추가적인 가격인상이 잇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yoon@fnnews.com 윤정남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