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판매되는 수입산 장난감 중 80%가량은 중국산으로 추정되고 있다. 저가제품의 경우 거의 중국산으로 봐도 무방하다.
중국은 전 세계 장난감의 70%를 생산하고 있는 최대 장난감 생산국으로 지난해 불거진 장난감 안전 논란의 진원지이기도 하다. 따라서 국내 장난감 역시 안전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지난해 상반기 실시된 장난감 리콜은 10건으로 이들 모두 중국산 장난감이었다. 중국산 아동용 장난감의 경우 납 과다함유로 미국에서 리콜된 직후 국내에서도 동일 제품 10종 1만3286개가 리콜된 바 있다.
그나마 지난해 실시된 리콜은 미국의 리콜 이후 후속조치를 한 것으로 국내 자체적으로 단행한 리콜은 미미하다.
미국의 중국산 장난감에 대한 리콜 이후 실시된 각종 조사는 어린이들이 장난감 때문에 심각한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대변하고 있다.
지난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용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장신구와 완구에서 납, 니켈, 크롬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됨에 따라 소비자 구매 주의보를 발령했다. 기술표준원은 이들 제품을 모두 수거했다.
조사 결과 목걸이, 팔찌, 반지 등 어린이용 장신구 13개 제품 가운데 9개 제품에서 납과 니켈이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됐고 완구의 경우에도 46개 제품 중 5개 제품에서 납, 크롬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최근에는 살균 효과가 뛰어난 물질로 알려진 은 나노 입자를 사용한 장난감 등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은 나노 입자가 미생물에 유전자 변형 등 독성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14세 이하 완구 관련 안전사고는 총 856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는 만 1∼3세의 사고 건수가 44.2%(378건)로 가장 많았고 위해 원인별로는 이물질 흡입이 48.6%(416건)로 코와 입, 귀 등 신체 일부에 완구의 작은 부품 등을 넣는 사고가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한편 미국 상원은 지난 3월 해외에서 만들어진 장난감에 대한 안전검사를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소비자 불만을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고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 어린이 제품에 납성분을 금지하고 새 장난감의 안전 기준을 설정했다.
/yoon@fnnews.com고은경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