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에이즈 치료제 美 수출

김홍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07.28 21:49

수정 2014.11.06 08:57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AIDS)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 상용화 시 매년 300억원씩 15년간 4500억원의 기술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지식경제부는 28일 한국화학연구원 손종찬 박사팀이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 미국 제약사인 ‘길리아드’사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1차 기술료로 85억원을 받고 상용화 시 오는 2013∼2028년 매년 300억원씩 총 4500억원의 경상기술료(러닝 로열티)를 받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은 기존 치료제의 신경계통 부작용 및 유전적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1일 1회 투여의 편리성과 약효로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손 박사는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은 AIDS를 일으키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1)의 증식에 핵심 역할을 하는 ‘역전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비핵산 계열 역전사 효소 저해제로 전임상 시험결과 하루에 한 번 소량의 경구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길리아드사는 에이즈치료제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의 다국적 제약회사로 기술이전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길리아드사의 에이즈 치료제 매출액은 3조1000억원으로 약 10조원으로 추정되는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윤호 지경부 장관은 이날 화학연구원을 방문, “이제 외국회사가 열심히 물건을 팔면 우리 주머지로 돈이 들어오는 기술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때”라면서 “연말에는 기술이전, 사업화 분야에 기여한 공로자를 포상하는 등 사기를 진작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jkim@fnnews.com 김홍재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