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기업 구조조정 후폭풍,건설 ‘태풍’ 조선·해운 ‘미풍’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6.27 17:31

수정 2010.06.27 17:31

금융당국이 지난 25일 단행한 건설·조선·해운업체에 대한 2차 구조조정(신용위험평가)의 ‘후폭풍’을 놓고 업종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건설업계는 지난해 1월 1차 신용위험평가에 이어 올해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비해 조선·해운업계는 1차 때보다 대상기업 등이 적어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평가다.

■건설업계, 대규모 인력감축 불가피

이번 2차 구조조정에서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은 벽산건설·남광토건·한일건설·신동아건설 등 9개 건설사는 지금의 인력을 절반 정도로 줄이는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의 후폭풍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1차 구조조정에서 C등급을 받은 우림건설은 지난 1년여 동안 종업원을 580여명에서 300여명으로 줄였고 동문건설은 300여명에서 100명 안팎으로 감축했다.
월드건설은 450여명이던 임직원을 워크아웃 돌입 후 220여명으로 줄이고 임직원 급여를 삭감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결국 C등급 판정에 따라 채권단으로부터 채무유예나 긴급자금지원 등을 통해 회사는 유지되겠지만 피나는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더불어 C등급의 9개사 건설사 경영진은 금융권의 경영관여에 따른 영향력 약화도 예상된다. 남광토건은 2차 구조조정계획 발표 직전 경영진이 대한전선에 지분을 모두 넘기고 퇴진하는 등 이미 구조개선에 들어갔다. 한일건설은 일부 조직 간 통·폐합을 준비하는 등 조직 슬림화를 시작했다. 이 회사는 시공 중인 아파트 건설사업장 등을 통매각하는 등 자금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타 다른 C등급 건설사들도 금융권에서 경영진이 대거 파견돼 극도의 보수적인 경영이 진행될 전망이다.

B등급을 받은 건설사들도 안심하기는 이르다. 일각에선 요즘과 같이 극도로 침체된 주택시장 상황에서는 ‘어정쩡한 B등급보다 채권단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C등급이 낫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이는 건설사들의 급속한 부실이 미분양 아파트에서 90% 정도를 차지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붙은 금융비용(이자)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B등급 건설사가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게 주된 이유다. 이에 비해 C등급 워크아웃 건설사들의 경우 은행 보호 속에서 이자율 감면 등의 혜택을 받게 돼 부실 위험이 오히려 작아진다. 시공능력순위 26위인 벽산건설은 지난해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B등급 이상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C등급으로 전락했다.

퇴출대상인 D등급 판정을 받은 금광건업, 금광기업, 남진건설, 진성토건, 풍성주택, 대선건설, 성지건설 등은 은행의 지원 없이 자력으로 경영정상화하거나 아니면 기업회생절차로 회생을 도모해야 한다. 하지만 전반적인 부동산 경기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회생에는 상당한 험로가 예상된다. 이 중 상당수가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조선·해운 파급 영향 ‘제한적’

건설업계에 비해 조선·해운업종은 구조조정 대상기업 수가 적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번 2차 구조조정에서 조선사의 경우 1개 업체가 C등급, 2개 업체가 D등급으로 각각 분류됐다. 또 해운사는 1개 업체만 C등급으로 평가돼 사실상 이번 구조조정의 칼날에서 사실상 비켜갔다는 평가다.

경기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는 업종의 특성상 조선업종에 비해 약 6개월 먼저(2008년 10월께)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연쇄부도설에 휩싸였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물동량 및 운임지수가 정상화되면서 해운사들의 재무상황도 급속도로 개선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하에 한국산업은행·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선박펀드도 ‘안전장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분석이다.
선주협회 관계자는 1개 업체 워크아웃 선정에 대해 “파급효과가 사실상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조선업종의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현재 난립하고 있는 중소조선사 통폐합의 기회를 놓친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상당수 중소조선사는 기존 블록공장, 부품 하청업체였다가 신규 선박건조 업체(신조업체)로 전환됐다”면서 “향후 중국 등 제3국의 거센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선 보다 강력하게 국가적 차원에서 중소조선사 통폐합, 대형조선사의 인수합병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ainman@fnnews.com김경수 조은효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