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제지표가 이처럼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는 양호한 회복세가 확연하고 산업생산은 '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지난달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올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5.5%, 전월 대비 1.1%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는 지난해 7월 이후 13개월째다.
광공업 생산은 수출, 내수 흐름을 반영하는 실물경기의 지표다. 다만 기저효과 영향으로 월별(전년동기 대비)로는 올 1월 37.0%, 3월 22.7%, 5월 21.7% 등으로 증가폭이 다소 둔화됐다.
광공업 생산이 이처럼 호조인 것은 자동차, 반도체, 전기장비 등 주력 수출품의 수출강세에다 내수 또한 개선되고 있어서다.
수출강세, 내수호조를 반영하듯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84.8%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해 관련통계가 작성된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평균가동률은 생산능력 대비 생산으로 산출하는 데 기업들이 생산을 맞추기 위해 설비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설비투자 확대, 고용 증대 등 경제의 선순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3.4% 증가했으나 전월대비로는 1.0% 감소했다. 민간소비도 회복세가 이어졌다. 소매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올 5월 3.7%, 6월 3.8%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설비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33.5% 급증했다. 9개월째 증가세다.
이처럼 실물지표가 호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6.7%로 6월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와 관련, 윤석은 통계청 과장은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가 7개월째 하락세인 것은 기저효과 등의 영향 때문"이라며 "하지만 현재의 경기흐름을 감안했을 때 8월에는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변수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실물경제가 경제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 정상궤도에 진입했다"며 "지표들이 회복세를 이어가겠지만 미국, 중국의 경기 등 대외요인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mirror@fnnews.com김규성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