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동 북아프리카 시위 확산 채찍&당근도 소용없어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3.06 17:07

수정 2014.11.07 01:33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시위와 폭력사태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각국 정부들이 각종 유화책과 강경책을 구사하며 사태 해결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반정부 시위 돌풍을 잠재우진 못하고 있다.

중동지역에서 지난 주말에도 연일 정치경제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가 이어진 가운데 오만과 바레인은 유화책을, 예멘과 사우디아라비아는 강경책을 제시했지만 시위는 진정되지 않는 모습이다.

오만에서는 부패 척결과 일자리 창출 등 경제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가 2주째 이어지는 가운데 5일(현지시간) 고위직 3명을 경질하는 내각 개편이 단행됐다.

오만의 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은 이날 보안업무를 관장하는 궁내청의 수장을 경질하고 최고위원회 자문직을 보유한 장관과 내무장관을 교체했다.

이날 내각 개편은 1주일 새 두번째로 단행된 것으로 카부스 국왕은 지난달 27일 6명의 각료를 경질하는 한편 젊은이들에게 추가적인 일자리 제공과 구직자들에게 실업수당 제공을 약속한 바 있다.


바레인 정부는 같은 날 반정부 시위를 잠재우기 위해 ‘2만여명 고용’이라는 ‘당근’을 제시했다. 바레인 인구의 70%를 차지하는 시아파가 주축이 된 시위대가 연일 권력을 쥐고 있는 수니파를 비난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연이어 포용정책을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셰이크 라시드 빈 압둘라 알 칼리파 바레인 내무장관은 이날 “반정부 시위대를 포함해 총 2만여명을 모집할 것”이라며 “이들은 내무부의 각 부서에 기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위대에 관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밝히고 “바레인은 수니파와 시아파의 고향이며 모두가 똑같다”며 시위대 달래기에 적극 나섰다.

반면 같은 날 예멘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시위대의 퇴진 요구를 거부하며 강경 진압을 예고했다.

예멘에서는 32년간 장기집권해온 알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5일 야권과 시위대의 즉각 퇴진 요구를 거부했다. 살레 대통령은 임기가 종료되는 2013년까지 자진 사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히는 한편 시위 주도세력인 대학생들을 저지하기 위해 수도 사나와 아덴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수업을 중단시켰다.

반정부 시위에 유화책을 펴왔던 사우디 아라비아 정부는 오는 11일 대규모 금요 집회를 앞두고 집회 및 시위를 원천 봉쇄하기로 하는 등 강경책으로 돌아섰다.

사우디 내무부는 5일 성명을 통해 “사우디 현행법상 어떤 형태의 시위도 불법에 해당한다”며 “사우디 보안 당국은 사회 공공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시도를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혀 정부와 시위대간 충돌을 예고했다.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는 5일 퇴진 의사가 없음을 재차 강조하며 유엔과 아프리카 연합(AU)이 조사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이처럼 각국 정부가 쏟아내는 ‘당근’과 ‘채찍’에도 불구하고 시위대들은 근본적인 개혁을 요구하며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오만에서는 5일 무스카트에서 남서쪽으로 500㎞ 떨어진 유전지대 하이마의 노동자들이 보다 많은 정부 투자를 요구하며 연좌시위를 벌였다.

바레인의 경우 수천 명의 시위대가 이날 인간사슬을 이루어 수도 마나마를 에워싸고 시아파에 대한 정치적 박해와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했다.


예멘에서는 수도 사나를 중심으로 시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하시드 압둘라 알-아마르 체육청소년부 차관이 이날 정부의 시위 강경 진압에 항의하며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집권층의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리비아 수도권 도시인 자위야에서 5일 무아마르 카다피의 친위부대와 반정부 세력 간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지는 등 리비아 곳곳에서 양측의 교전으로 사상자가 속출하면서 이번 사태가 내전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알-아라비아 방송은 전날에만 최소 1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전했고, 알-자지라 방송은 50명 이상이 숨지고 300명이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sjmary@fnnews.com서혜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