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가 시골이라는 지리적 울타리를 벗어나고 있다.
도시민의 농사활동이 확산되면서 도시농업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농업이란 옥상, 텃밭 등 도시의 다양한 공간에서 비전업으로 농사를 짓는 것을 말한다. 최근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까지 이어지면서 도시농업은 여가뿐 아니라 값비싼 농작물의 자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26일 농림수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업 농민이 운영하는 농장이 아닌 도시민 등을 위한 농장은 4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247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이 아닌 취미나 여가생활로 농사를 짓는 도시농업 인구는 서울에만 15만3000여명, 전국적으로는 70여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농림수산식품부는 추산하고 있다.
최근 들어선 정부의 도시농업 지원 확대와 여가 및 소득 증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도시농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과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500만명이 참여하는 도시텃밭 및 주말농장 8000곳을 확충할 계획이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지난 1992년 도시농업이 처음 시작된 지 28년 만에 전 국민의 10%가 도시농부가 되는 셈이다.
국내 도시농업은 1992년 서울시 농업기술센터가 새로운 사업으로 처음 발굴해 시작했다. 현재 농업기술센터는 텃밭농원, 실버농원, 다둥이 가족농원, 옥상농원 등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64개 농원을 운영하고 있다.
도시농업은 외국에서는 보편화됐다. 미국에선 옥상정원(Roof garden), 영국에선 자루텃밭(Allotment), 일본에선 시민농원 등의 이름으로 '도시농장(City farm)'이 자리를 잡았다. 영국의 경우 런던 시민의 14%가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다. 쿠바는 채소 소요량의 50%를 도시에서 생산해 물류비용 절감효과를 보고 있다. 미국에서는 뉴욕 등 대도시에 녹지율 확보(30% 이상)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도시농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외국에선 생태계 보전, 도시환경 개선 등 도시농업의 가치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대도심 서울에서도 '건강' '여유' '환경'을 동경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텃밭과 옥상농원 등에서 도시농업 형태로 자리를 잡고 있다.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조은희 주무관은 "웰빙문화가 확산되고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도시농부를 꿈꾸는 서울시민이 늘고 있다"며 "특히 최근 인터넷 블로그와 인맥구축서비스(SNS)를 통해 농사에 대한 정보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관심과 참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농업은 쇠퇴하고 있는 농업의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도시의 자본과 인력이 농업을 지원하는 자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도시민에 대한 농산물 직거래 등을 통해 농업의 재생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곤 연구위원은 "농업은 시장개방이나 고령화 등으로 성장이 정체되고 축소되고 있다"며 "도시에 의한 농업 재생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it8129@fnnews.com노현섭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