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실종발생 건수는 지난 2006년 약 1만4000건에서 2010년 1만7000여건으로 늘었다. 이 중 대부분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만 생사도 모른 채 부모와 생이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장기 실종 아동의 수는 기관에 따라 수만명에서 수백명까지 천차만별이다. 정책의 기초가 될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것이 우리가 처한 현실이다.
실종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초동수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초동수사의 성패는 컨트롤 타워를 통한 일사불란한 대응, 경찰의 수사전담팀 운영과 함께 목격자·제보자 등 제3자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미국은 1984년 설치된 전미실종·학대아동센터(NCMEC)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당시 센터 개소식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악관에서 열렸다. 1996년 유괴로 목숨을 잃은 앰버 헤이거만(당시 9세·여) 사건은 '앰버 경보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계기가 됐다. 지역 방송국에서 정규방송을 중단한 채 경보를 내보내면 경찰은 물론 주변의 차량운전자, 마을 사람들에게 범인의 인상착의 등이 전파된다. 최근 NCMEC는 앰버 경보를 휴대폰과 페이스북까지 넓혔다.
우리도 지난 4월 실종아동법을 개정해 한국판 앰버경보제를 도입했으나 이제 겨우 틀만 갖췄을 뿐이다. 실종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다. 다음 차례는 내 아이, 내 가족일 수도 있다. 실종아동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관심은 사라져야 마땅하다. 스마트폰 2000만대 시대,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위상에 걸맞은 다양한 실종아동 대책이 나와야 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