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박명수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오는 8일 열리는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에서 발표한다.
기획재정부 등 11개 부처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11개 연구기관이 공동 개최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정책방향과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라는 총론을 12개의 세부 주제로 나눠 전문가의 발제와 토론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12개의 세부 주제는 ▲100세 시대 도래의 시사점과 정책방향(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수영 교수)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 및 도시정책 방향과 과제(국토연구원 최영국 박사)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 대응 방안(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박사) ▲100세 시대 여가 및 문화활동 활성화 방안(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소영 박사) ▲100세 시대 대비 가족정책 과제(한국여성정책연구원 최인희 박사) ▲100세 시대 대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남순 박사) ▲100세 시대 대비 중고령자 사회 참여 활성화 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정 박사) ▲100세 시대 대응 산업발전 전략과 과제(한국산업연구원 장석인 박사) ▲고령사회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소ㆍ벤처기업 지원 방안(백석대학교 홍길표 교수) ▲100세 시대 금융의 역할: 세제혜택 금융상품의 역할(자본시장연구원 홍원구) ▲100세 시대 인력공급 전망과 과제(한국고용정보원 박명수 연구위원) ▲베이비붐 세대 은퇴 대비 평생학습을 위한 정책방향(평생교육진흥원 이세정 전략기획실장)으로 짜여질 예정이다.
이 가운데 박 연구위원은 ‘100세 시대 인력공급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에서 향후 우리나라의 노동력 규모를 추정한 결과 2018년부터 노동력 증가율이 1% 이하로 낮아지고 20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노동력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 돼 경제성장률이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예상, 100세 시대로 부족해질 노동인력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박 연구위원의 대응방안으로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여성과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직업훈련 기회 증대 등으로 55세 이상 고령 인력 적극 활용 ▲고급 인력에 대해서는 이민 적극 수용 등이 제시될 예정이다.
/relee@fnnews.com 이승환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